-
AI·빅데이터 기반 스마트에너지시스템 융합전공
최근 스마트화로 인한 전력 및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디지털화와 에너지와 환경 자원 문제를 고려한 지능화된 운영 체계의 고도화 요구는 AI, 빅데이터, IoT와 같은 최신 기술을 기반으로 새로운 산업 수요를 창출하고 있으나 기존의 전통적 교육과정으로는 급변하는 산업체의 수요를 충족하기에 한계가 있다. AI·빅데이터 기반 스마트에너지시스템 연계전공은 이러한 산업체의 현장 수요를 기반으로 산업 현장에서 즉시 활용 가능한 실무형 엔지니어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교육과정표
구분 전기공학과 전자공학과 컴퓨터공학과 응용통계학과 AI·빅데이터 기반 스마트에너지시스템 1-1 실용통계학 1 1-2 실용통계학 2 2-1 회로이론 회로이론 1 자료구조
컴퓨터구조수리통계학 1
조사방법론 12-2 회로망해석
전자회로
마이크로프로세서회로이론 2
신호 및 시스템데이터베이스
데이터통신수리통계학 2
조사방법론 23-1 전력공학
전기기기 1
제어공학 1
전기설비설계
전력전자공학전자회로
제어공학
디지털공학
통신이론
센서공학알고리즘
소프트웨어공학
인공지능개론
데이터마이닝다반량자료분석 1
회귀분석 1
실험계획법 1디지털시스템응용(3-2-2)
스마트에너지시스템 특론(3-2-2)3-2 전력시스템공학
전기기기 2
제어공학 2응용전자회로
제어시스템설계
마이크로프로세서
반도체공학
RF공학기계학습프로그래밍
심화프로그래밍다반량자료분석 2
회귀분석 2
범주형자료분석빅데이터기반 에너지 관리 및 분석(3-2-2)
임베디드기반 에너지 IoT(3-2-2)4-1 빅데이터 금융통계
금융시계역분석최적화기반 에너지관리(3-2-2)
신재생 연계운영 시스템(3-2-2)4-2 반도체소자응용
통신시스템공학클라우드프로그래밍 AI기반 에너지 패턴분석 및 예측(3-2-2)
스마트그리드 계통연계 운영(3-2-2)신청 대상 전기공학과, 전자공학과, 컴퓨터공학과, 응용통계학과 (2학년 2학기자) 이수 학점 제1전공 지정과목은 18학점 이상 취득 융합전공 24학점 중 18학점 이상 취득 총 42학점 이상 취득 자격취득 절차 신청서 제출 → 학점이수 → 자격신청서 제출 → AI·빅데이터 기반 스마트에너지시스템 융합전공 학위 취득 문의사항 스마트에너지시스템융합연구소
담당 연구원 이상환한의과대학 100호 031-750-8642 -
아시아문화융합전공/부전공
개요 및 교육목표
본 과정은 아시아문화연구소를 중심으로 한국어문학과, 동양어문학과,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가천리버럴아츠칼리지의 협업으로 이루어졌다. '아시아문화 융합전공' 과정에서는 아시아문화에 대한 인문학적 소양과 전문성, 창의성과 공감 능력을 갖춘 글로벌 인재를 육성하고자 하며,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교육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
1 인문학적 지식에 바탕을 둔 아시아 대중문화 전문가 교육
문학, 역사, 사상, 언어, 문화 등 인문학적 지식에 기반한 융복합 연구 방법을 통해 아시아 대중문화 전문가를 기른다. -
2 소통과 공감 능력을 갖춘 글로벌 인재 육성
이문화 비교 연구 및 다양한 문화적 갈등에 관한 토의를 통해 문화적 소통과 공감 능력을 갖춘 글로벌 인재를 육성한다. -
3 미래 문화 발전을 위한 창의적 문화 설계자 양성
프로젝트 중심 교육과 문화 융합 교율을 통해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사고 능력을 가진 문화 설계자를 양성한다.
신청대상 전학과 학생 이수학점 아시아문화 융합전공 : 아시아문화 융합전공 교육과정 교과목 중 42학점 이상
아시아문화 부전공 : 아시아문화 융합전공 교육과정 교과목 중 20학점 이상이수절차 신청서 제출 → 학점 이수 → 자격신청서 제출 → 아시아문화융합전공 학위 취득 문의 가천대 아시아문화연구소 중앙도서관 322호 031-750-8572 교육과정표
* 과목별 3학점
구분 아시아문화연구소 개설과목(융합전공) 한국어문학과 개설과목 동양어문학과 개설과목 미디어커뮤니케이션 학과 개설과목 중국어문학전공 일본어문학전공 2-1 영상과 아시아문화(3)
문화 커뮤니케이션의 이해(3)구비문학과 스토리텔링(3) 현대일본의 대중문화(3) 2-2 대중문화의 이해(3)
한류와 아시아(3)중국역대명저탐구(3) 3-1 아시아 지역학1(3) 어문규범과 국어생활(3) 일본의 역사(3) 미디어산업과정책(3) 3-2 비교문화론(3)
한·일 대중음악의 역사(3)일본문화(컨텐츠 분석연습)(3) 4-1 문화 컨텐츠 기획과 제작 연습(3) 영화로 본 중국현대사회(3) 미디어콘텐츠유통(3) 4-2 한중일 신화와 문화컨텐츠(3)
아시아 지역학2(3)고전과 문화컨텐츠(3) 중국의 국가전략과 문화산업(3) 미디어와 국제사회(3) -
아시아 문화 융합전공 : 졸업학점 42학점 이상, 아시아문화 부전공 : 졸업학점 20학점 이상
-
위 과목 외에 가천리버럴아츠칼리지 교양과목 중 6학점 이내로 관련 과목을 졸업 이수학점으로 인정할 수 있다. 관련과목은 다음과 같다.
'내러티브와 매체', '동서문화의 교류', '동아시아사의 이해',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문학으로 보는 대중문화', '한국문화컨텐츠의 이해', '한글과 한국어', '일본대중문화의 이해' (이상 2학점), '디지털 2D/3D디자인', '문학과 예술', '문화콘텐츠와 스토리텔링', '오늘의 중국', '축제기획과 문화콘텐츠', '한국현대사와 세계', '한·중·일 문화와 영상콘텐츠(2020년 2학기까지 수강한 학생에 한해 학점 인정)' (이상 3학점) -
‘아시아문화 융합전공/부전공’ 학생은 한국어문학과, 동양어문학과,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개설 전공과목(12과목, 36학점), 아시아문화연구소 개설 전공과목(10과목, 30학점), 가천리버럴아츠칼리지 개설 교양과목(15과목, 36학점) 중 선택해서 이수할 수 있다.
-
‘아시아문화 융합전공’ 이수자는 졸업시 ‘아시아문화’ 문학사 학위를 취득한다.
아시아문화 융합전공 교과목 연계도
아시아문화 융합전공 교육과정 해설
-
영상과 아시아문화(Visual Contents and Asian Culture)
국내외에서 제작된 다양한 영상 콘텐츠(영화 및 다큐멘터리)를 통해서 아시아문화에 대해 이해한다. 아시아 각국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는지 살펴보며, 문화의 다양성과 특수성의 가치를 인정하고 상호존중을 바탕으로 한 타문화 이해를 목표로 수업을 진행한다. -
문화 커뮤니케이션의 이해(Understanding Cultural Communication)
문화적 다양성을 이해하고 현대사회가 갖고 있는 다양한 문화적 갈등양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인종, 성별, 세대, 이념, 종교 등의 다양한 문화 충돌, 문화 교류 및 융합을 다루면서 이를 통해 문화적 공감력을 함양하고, 창의적 사고 능력을 배양한다. -
대중문화의 이해(Understanding Mass Culture)
문화 현상으로서의 대중문화에 대한 역사적 안목을 갖고 그 의미와 기능을 비판적으로 이해한다. 또한, 미디어에 의한 대중문화 전파 과정과 한 시대의 지배적 문화가 형성되고 변화하는 양상을 파악하여 창의적인 문화 운동의 가능성과 문화 발전을 이뤄내는 소중한 가치가 무엇인가를 탐구한다. -
한류와 아시아(Korean Wave and Asia)
아시아 각국의 한류 현상에 대해 알아보면서 문화의 국제적 소비와 재생산 과정을 이해한다. 국수주의와 문화적 우월주의를 배제하고 아시아의 다양성을 확인하며, 보다 바람직한 한류의 역할과 의미를 파악한다. -
아시아 지역학1(Asia Area Studies 1)
아시아의 문화, 사회, 역사, 언어, 국제관계 등에 관해 종합적으로 탐구한다. 특히 아시아의 역사적 과정을 시야에 넣고 오늘날의 문화 현상을 폭넓게 관찰하여 각 문화의 특수성, 보편성, 관계성을 살핀다. 이를 통해 아시아 지역 전문가가 되기 위한 기본적 지식을 습득한다. -
비교문화론(Comparative Culture)
타문화 이해를 위한 기본적 이론을 습득하고 이를 통해 비교문화론적 관점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문학, 역사, 사상, 언어, 예술, 종교 등 국가·지역 간 비교 연구 예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글로벌 소통 능력을 키운다. -
한·일 대중음악의 역사(History of Korean-Japanese Popular Music)
20세기 초부터 현재까지 한국과 일본의 대표적인 대중음악의 실제 곡들을 음미해 보고, 이를 둘러싼 다양한 사회적 논점들을 통해 한일 대중음악사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 특히 한국의 트로트와 일본의 엔카가 형성되고 전개된 과정 및 상호영향 관계를 입체적으로 살핌으로써 세계 대중음악사에서 한국과 일본의 대중음악이 갖는 의의와 위상을 생각해본다. -
문화콘텐츠 기획과 제작 연습(Practice of Cultural Contents Creation)
영상 콘텐츠 창작을 위한 이론, 기술, 방법 등을 학습하고, 실제로 문화컨텐츠를 기획 제작하는 연습을 한다. 제작된 결과물을 발표하고 개선점을 함께 논의한다. -
한중일 신화와 문화콘텐츠(Korean, Chinese and Japanese myths & Cultural contents)
한중일 신화를 중심으로 아시아 각국의 신화 및 전설을 비교하고 그 유사점과 차이점을 살펴본다. 또한 현재 신화 및 전설을 소재로 만들어진 문화컨텐츠(드라마, 영화, 에니메이션, 게임 등)의 다양한 예를 보면서 고전을 현대적으로 해석하고, 문화유산으로서의 의미를 파악한다. -
아시아 지역학2(Asia Area Studies 2)
아시아 각 지역의 사정에 관해 깊이 있게 탐구한다. 본 수업을 통해 아시아 각 지역의 다양한 삶의 방식과 가치관, 세계관을 이해하고 아시아 전문가로서 균형 잡힌 관점을 가지도록 한다. -
구비문학과 스토리텔링(Oral Literature and Story telling)
우리 고유의 민속 그중에서도 구비 전승되는 것들의 문학적 성격을 탐구하여 고전문학의 기저를 이해하도록 한다. -
어문규범과 국어생활(Regulation of Standard Language and Korean life)
한국어의 규범적 특징을 학습하고 실제 언어생활에서 관찰되는 다양한 한국어의 모습을 수집한 후 관련된 문제점을 찾아 해결 방법을 모색한다. -
고전과 문화콘텐츠(Korean Classics and Culture Contents)
현대의 독자가 고전과 만나고 고전을 현대적인 예술 양식으로 재창작하는 것은 고전을 적극적으로 향유하는 일이다. 이에 대한 학문적 접근과 참여를 통해 현대의 문화콘텐츠로서 고전의 가치와 효용을 이해하고 고전을 활용하는 능력을 기른다. -
중국역대명저탐구(Study of Chinese Masterpieces)
중국의 대표적 명저에 대한 소개 및 강독을 통하여 고대 및 근현대의 사회상과 역사에 관한 지식을 습득하며 현대적 의의를 탐구한다. -
영화로 본 중국현대사회(Study of Contemporary Chinese Society through Chinese Movies)
영화를 통하여 중국 현대사와 현대사회의 현상 및 변화를 탐구하는 한편, 주요 영화대사의 중국어 원문을 강독, 해설한다. -
중국의 국가전략과 문화산업(National Strategy and Cultural Industry of China)
중국이 대내외적 국가 전략 속에 작동시키고 있는 문화적 전술을 이해하기 위해, 공자 학원 등의 교육사업 및 각종 대중 문화산업의 내용과 본질에 대한 탐구와 분석을 진행한다. -
일본의 역사(Japanese History)
일본 역사의 전체적 흐름을 개괄하여 시대별 이미지를 갖고 중요 사건의 연대기적 순서를 체계적・인과적・구조적으로 파악한다. 이를 통해 인류 문화의 일부인 일본 문화의 성과를 파악하고 재평가한다. 궁극적으로 자국 중심의 역사 인식을 극복하고 공생의 미래를 창조할 비전을 갖는다. -
현대일본의 대중문화(Japanese Contemporary Popular Culture)
일본의 대중문화에 대한 깊은 이해를 목표로 한다. 일본 대중문화에 대한 일반적 지식습득에 그치지 않고, 그 발생 및 역사적 전개과정을 파악하여 현대 일본의 문화를 이해한다. 일본 대분문화의 각 장르 즉, TV(드라마 등), 소설, 영화, 에니메이션, 만화, 음악, 신문 및 잡지 중 몇몇 특적한 분야를 집중적으로 다루면서 구체적인 현상에 주목한다. 한편, 일본의 대분문화와 한국의 대중문화는 어떤 관련이 있으며 아시아 혹은 전지구적 관점에서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생각해 본다. -
일본문화(콘텐츠 분석연습) (Cultural Studies of Japanese Contents)
고전을 비롯한 고급문화에서부터 근현대 문화 각 분야와 대중문화에 이르기까지 언어/영상(그림 포함)/음향 미디어 텍스트를 통해 일본의 역사 및 일본인의 사상, 우주관, 인생관, 종교관, 생활감각 등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수업은 일본의 문학, 영화, 회화, 만화, 그림, 출판문화, 노래, 놀이문화, 게임, 스포츠 등의 콘텐츠를 실제로 접하고 이와 같은 자료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현대문화와 접목하여 새로운 문화 콘텐츠를 생산해내는지 그 메카니즘을 파악하는 것에 주안점을 둔다. 하나하나의 장르의 사적 흐름에 대한 설명과 스토리텔링 기법을 이용한 수업 진행이 전개되는 동안 학생들 스스로 한국의 문화와 비교하면서 동아시아문화와 세계문화를 복안적 시야에 두고 인간의 문화를 바라보는 안목을 기르도록 한다. -
미디어와 국제사회(International Communication)
세계화 시대를 맞아서 국제사회 질서에 미디어가 미치는 영향, 세계의 미디어 역학관계, 미디어의 문화적 속성, 세계의 미디어 시장과 콘텐츠 유통실태 등에 대해 배운다. 학생들의 글로벌 마인드를 키우는 것이 교육 목적이다. -
미디어콘텐츠 유통(Media Contents & Marketing)
콘텐츠산업의 구조와 현황을 이해하고 콘텐츠가 다양한 멀티 플랫폼을 통해서 어떻게 유통되어 수익을 창출하고 있는지를 학습한다. 국내외 영상물 유통 현황과 구조에 대한 이해를 통해 관련 취업 분야에 대한 정보와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한다. -
미디어산업과 정책(Media Industry and Policy)
미디어산업의 발달과정과 구조, 현황, 정책 현안 등에 대한 이해를 통해 미디어산업에 대한 전문지식을 습득하고 관심 있는 진로 분야를 탐색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
-
바이오헬스의료기기 융합전공
개요 및 교육목표
바이오헬스의료기기 (Medical + Biology + Electronics) 융합전공에서는 학생들의 개별적인 분야의 전공역량의 향상과 더불어 각 분야의 전공 지식을 융합할 수 있는 인재를 육성한다. 이를 위해 산학연계와 실무 중심 수업 진행을 통해 사회와 기업체에 적합한 핵심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2단계의 인재육성과정과 1단계의 인재양성과정으로 전공 교율을 진행한다. 또한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직무역량, 의료-바이오-전자기기 분야별 전공과목을 개설하여 바이오헬스의료기기 관련 기업의 수요에 맞는 바이오헬스의료기기 첨단기술을 이끄는 리더 인재를 육성하고 학생-기업 매칭과정을 진행한다. 아울러 현장실습 적응을 위해 의공학과, 전자공학전공, 기계공학전공의 융합전공 Core-Course를 개설하여 산업체의 전문가, 임상전문가 등의 강의를 통해 바이오헬스 의료기기 연구/산업 전문가 배출을 목표로 한다.
교육과정표
구분 바이오헬스의료기기공학 연계전공 개설과목(융합전공)*** 의공학과 개설과목 기계공학과 개설과목 전자공학과 개설과목 컴퓨터공학과 개설과목 융합전공 인공지능 나노디그리 1-1 의공학개론(3) 파이썬 1-2 생리학(3) 2-1 해부학(3)
컴퓨터 프로그래밍(3)
공업수학(2)
의료기기이해(2)열역학(3)
재료역학(3)
유체역학(3)
CAD실습(3)회로이론1(3)
물리전자공학1(3)확륙과통계
C언어
자료구조2-2 생체신호처리(3)
생체역학(3)
의료기기인증개론(3)
디지털시스템 설계(3)동역학(3) 회로이론2(3) 데이터베이스
데이터통신
JAVA3-1 메디컬 로봇공학(3)
바이오의료기기(3)
인공지능 수학(3)인공지능프로그래밍(3) 생체재료(3)
생체전자기학(3)
의료기기 디자인 및 기구설계(3)기계설계(3) 전자공학실험1(3)
전자회로(3)
디지털공학(3)
센서공학(3)C++
빅데이터분석개론(3)3-2 웨어러블디바이스(3)
바이오멤스(3)
AI로봇제어(3)
기계학습(3)딥러닝1(3) 의료영상1(3) 자동제어(3)
기계공학실험1(3)
응용기계설계캡스톤디자인(3)전자공학실험2(3)
제어시스템 설계(3)
응용전자회로(3)IOT 프로그래밍 P실무프로젝트(필수)(3) P실무프로젝트(필수)(3) P실무프로젝트(필수)(3) P실무프로젝트(필수)(3) P실무프로젝트(3) 4-1 메디컬 광전소자(3)
현장미러프로젝트(3)딥러닝2(3) 의료영상2(3) 메카트로닉스및실험(3)
마이크로 나노공학(3)전자공학실험3(3) IT특강 4-2 G-팔로미(12)
장기현장실습2(12)의료기기제품개발이해(3)
분자생물및세포분석(3)로봇공학(3) 광전자공학(3) 신청 대상 전 학과 (1학년 2학기자 ~ 3학년 2학기자) 이수 학점 상기 바이오헬스의료기기 융합전공 교육과정 지정 교과목 중 총 42학점 이수 융합전공 - 본인 학과 전공 24학점 이하(중복인정)*
- 융합전공 교과목 18학점 이상*** 이외의 학과의 경우, 본인 학과 전공이 인정되지 않으므로 모두 융합 전공 지정교과목으로 이수해야함
** 부/복수전공 학과 교과목의 경우, 융합전공 교과목으로 15학점까지 추가 중복인정
***융합전공 개설교과목의 경우, 각 참여 학과 전공에서 코드쉐어링 교과목으로 지정함.
인공지능 나노디그리는 융합전공을 이수하고, 나노디그리 전공을 추가 이수하는 경우 인증서를 발급인공지능 나노디그리 - 나노디그리 전공 교과목 9학점 추가 이수 자격취득 절차 신청서 제출 → 학점이수 → 자격신청서 제출 → 바이오메카트로닉스 공학사 학위 취득 문의사항 손영돈 주임교수 AI공학관 225호 메일 : ydson@gachon.ac.kr
전화 : 031-750-2614 -
스마트카 융합전공
개요 및 교육목표
스마트카 융합전공은 미래형자동차 분야에 필요한 자동차공학, 기계공학, 전기전자공학, 컴퓨터공학의 실무능력을 두루 갖춘 창조적 융합형 인력 양성을 목표로 함.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자동차공학, 기계공학, 전기전자공학, 컴퓨터공학의 다양한 분야의 융합형 전공교육을 제공하고자 함. 또한 로봇, 드론,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최신 기술을 접할 수 있도록 교육함으로써 향후 자율주행차 분야에서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전문엔지니어를 양성하고자 함. 스마트카 분야에서 연구개발 직무의 수요가 매우 큼. 스마트카 융합전공은 자율주행차R&D엔지니어를 양성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선정하였으며 자동차엔지니어 및 전기전자엔지니어로서의 직무능력도 함께 키울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구성함.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혼합현실기반 실차스케일 안전자율주행 제어기술 융합교육’을 진행하며, 세부내용으로 ‘가상/증강현실 시뮬레이션’과 ‘실차 제어시스템 실습’을 포함하고 있음. 해당 교육은 기계스마트산업공학부(기계공학전공), 미래자동차학과, AI/SW학부, 컴퓨터공학과 등 4개 학과에서 우수한 교수진이 참여하여 전문성을 높임. 융합전공, 융합부전공, 마이크로디그리 등 다양한 이수과정을 개설하여 다양한 전공의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산업체현장실습과 K-city 자율주행 인프라 활용을 통해 전문성과 현장경험을 갖춘 인재를 양성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수립함
교육과정표
구분 스마트카 융합전공 기계공학전공 AI/SW 학부 컴퓨터공학과 1-1 프로그래밍기초(3)
소프트웨어수학(3)1-2 미래형자동차 및 디자인(2)
응용프로그래밍(2)
공학전산응용(3)로봇공학(3) C언어(3)
컴퓨터구조(3)2-1 공업수학1(3)
CAD실습(3)운영체제(3)
객체지향프로그래밍(3)
자료구조 및 실습(3)C++(3)
자료구조(3)
리눅스(3)2-2 공업수학2(3)
동역학(3)
동력시스템공학(3)알고리즘(3)
데이터베이스 및 실습(3)JAVA(3)
데이터베이스(3)
데이터통신(3)3-1 자동차전자제어시스템(3)
차량동역학 및 안전시뮬레이션(3)
확률로보틱스(3)자동차공학 및 실습(3)
기계설계(3)
진동학(3)인공지능개론(3)
AI수학(3)정보보호개론(3)
인공지능개론(3)
알고리즘(3)소프트웨어공학(3)
영상처리(3)3-2 AI자율주행공학(3)
자동차센서공학(3)
자율주행 SLAM 개론(3)
P실무프로젝트(필수)(3)전기전자공학 및 실습(3)
자동제어(3)머신러닝(3)
컴퓨터비전[인공지능전공](3)심화프로그래밍(3)
기계학습 프로그래밍(3)
딥러닝응용(3)겨울학기 현장실습(3/6) 4-1 자율주행 사고분석(2)
종합설계(자율주행)(3)메카트로닉스 및 실험(3)
CAE(3)딥러닝(3)
컴퓨터비전[소프트웨어전공](3)여름학기 4-2 자율주행 PG실습(2)
스마트카세미나(2)신청대상 기계공학전공, AI/SW학부, 컴퓨터공학과
(2학년 2학기자 ~ 4학년 2학기자)이수학점 <융합전공>
⦁ 스마트카 융합전공 인정 교과목 42학점 이수
⦁ 기존 학과 인정 24학점 + 융합전공 18학점(P-실무프로젝트, 종합설계, 현장실습 필수포함)
⦁ 이수 최소 기준 만족 + P-실무프로젝트 + 종합설계 + 현장실습
<부전공>
⦁ 스마트카 융합전공 인정 교과목 20학점 이수(P-실무프로젝트, 종합설계, 현장실습 필수포함)
⦁ 이수 최소 기준 만족 + P-실무프로젝트 + 종합설계 + 현장실습
<마이크로디그리>
⦁ 마이크로디그리 인정 교과목 18학점 이수
⦁ 기존 학과 인정 9학점 + 융합전공 9학점(현장실습 필수포함)
- (자율주행 인지) - 컴퓨터공학과 인정 교과 수강
- (자율주행 판단) - AI/SW학부 인정 교과 수강
- (자율주행 제어) - 기계공학전공 인정 교과 수강이수 최소 기준 ⦁ 기초전공(6학점) 전공기초 (6학점) 전공심화(3학점) 융합전공(3학점)
⦁ 모든 이수과정에서 현장실습 필수
- 융합전공의 경우 현장실습 최대 6학점 인정
- 부전공과 마이크로디그리의 경우 현장실습 최대 3학점 인정자격취득 절차 신청서 제출 → 학점이수 → 융합전공/부전공/마이크로디그리 취득 문의사항 최회명 주임교수 사무실 : 산학협력관 401-C호 문의처 : 031-750-5315 -
이차전지 융합전공
개요 및 교육목표
이차전지는 다양한 신산업 분야에서 필수적인 중요 부품으로써 세계적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이차전지 는 현재를 넘어 미래가 더욱 기대되는 고부가가치 학문분야이다. 이차전지 융합전공은 물리화학 기본 개념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전기화학 및 세분화된 이차전지 관련 실습 등을 통하여 전지 소재 및 시스템에 대한 견고한 지식 함양을 추구하고 이를 통하여 전지의 기본 개념 및 개발 동향에 대한 포괄적 이해력을 지닌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자 한다. 특히 산업 현장과 교육 훈련간의 격차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실질적인 설계·실습을 수행함으로써, 친환경 기술(전기자동차, 스마트그리드 등)에 필수적인 배터리·시스템 관련 산업 핵심 인력 양성에 중점을 둔다. 이를 바탕으로 이차전지 분야 대기업 및 중견·중소기업, 연구소 분야 등에 필요한 고급인재 배출을 목표로 한다.
교육과정표
구분 융합전공 개설과목 화공생명공학과 개설과목 기계공학과 개설과목 1-2 창의 NTree 창의 NTree 2-1 유기화학1
물리화학(기계)열역학
재료역학2-2 화공양론2
분석화학실험응용열역학
응용재료역학3-1 고분자공학(멤브레인 및 분리막)
양극기초 및 설계공학
이차전지실습1(수유계전지)(화공)열역학
유기합성실험수치해석(필수) 3-2 유무기바인더공학
이차전지전해질공학
음극기초 및 설계공학P-실무 프로젝트(필수)
물질전달전기전자공학 및 실습 4-1 배터리시뮬레이션
소재분석기기
이차전지실습2(전고체전지)전기화학공학(필수)
재료공학열전달 4-2 자율주행차의이해
에너지기기응용기술
이차전지종합설계
그린카에너지공학고분자공학 에너지공학(필수) 신청 대상 화공생명공학과, 기계공학과
(3학년 1학기자*)
*2022학년도에 한하여 3학년 2학기자 신청이수 학점 이차전지 융합전공 교육과정 지정 교과목 중 42학점 이수 - 필수이수 12학점
- 본인학과 전공 12학점
- 연계학과 전공 18학점
- (기계)열역학과 (화공)열역학은 수강 시 택일하여 수강자격취득 절차 신청서 제출 → 학점이수 → 자격신청서 제출 → 이차전지공학사 학위 취득 문의사항 화공생명공학과 사무실
기계공학전공 사무실IT 융합대학, 6-2호(화공), 공과대학2, 107호(기계) 031-750-5364(화공)
031-750-5532(기계) -
창업융합전공
개요 및 교육목표
창업융합전공은 창조와 혁신이 일상이 되는 창업문화 정착과 학생 성공을 지원하는 대학문화 조성을 위해 체계적인 학생 창업 교육을 지원하고 학생 창업가를 양성하려는 교육목표를 가진다. 창업을 꿈꾸는 학생들에게 기업-학교의 상생 생태계 안에서 창업학/인지과학/최신 트렌드를 반영한 전문기술교육 등을 습득하도록 하며, 융합전공 이수를 통해 학생들이 창업 역량을 갖추고 성공 창업을 이루는 기반을 갖출 것으로 기대한다.
교육과정표
학년 학기 이수구분 교과목명 학점 이론 실습 2,3,4 매 학기
(1,2)전공필수 스타트업 창업프로젝트 3 1 2 전공필수 기업가정신 3 3 0 전공필수 인간본성의 과학적 이해 3 2 1 전공필수 UX와 서비스 기획 3 1 2 전공필수 블록체인의 기초(8주) 3 2 4 전공필수 블록체인의 응용(8주) 3 2 4 소계 18 11 13 매 학기
(1,2)전공선택 창업-P(창업활동프로젝트)Ⅰ 6 0 6 전공선택 창업-P(창업활동프로젝트)Ⅱ 6 0 6 전공선택 창업-P(창업활동프로젝트)Ⅲ 6 0 6 전공선택 창업-P(창업활동프로젝트)Ⅳ 6 0 6 전공선택 창업-P(창업활동프로젝트)Ⅴ 6 0 6 전공선택 창업-P(창업활동프로젝트)Ⅵ 6 0 6 소계 36 0 36 이수학점 전공 전공필수 18 11 13 전공선택 36 0 36 신청 대상 1000스쿨(창업학기제) 이수자
(2학년 2학기자 ~ 4학년 2학기자)이수 학점 <창업부전공>
창업융합전공 전공필수 교과목 18학점 이수
<창업융합전공>
주전공 48학점+창업융합전공 전공 42학점 이수(전공필수 18학점 필수 포함)
- 주전공(중복인정) 15학점
⇒ 창업융합전공 27학점(전공필수 18학점, 전공선택 2과목) + 주전공 15학점
<창업융합 단독전공>
창업융합전공 42학점 이수(전공필수 18학점 필수 포함)자격취득 절차 신청서 제출 → 학점이수 → 자격신청서 제출 → 학위 취득 문의사항 이미솔 AI관 6층 031-724-4542 -
이차전지혁신 융합전공
개요 및 교육목표
이차전지는 다양한 신산업 분야에서 필수적인 중요 부품으로써 세계적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이차전지는 현재를 넘어 미래가 더욱 기대되는 고부가가치 학문분야이다. “세계 이차전지 산업을 선도하는 자율과 창의 중심의 융합형 첨단 인재 양성”이 이차전지 융합전공의 비전이며, 융합형 첨단 인재 양성을 위해 대학간・학제간 제약 없는 자율적인 교육 체계 구성과 급성장하는 이차전지 산업에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창의를 핵심 지향점으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융합형 이차전지 전공 이수를 통해 이차전지 소재/분석, 제조/공정, 진단/안전, 장비/시스템, 및 자원순환의 다양한 영역에 걸쳐 이론교육을 통해 주요한 지식을 함양하고, 실질적인 설계·실습을 통해 현장 중심형 핵심 인력을 양성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이차전지 분야 대기업 및 중견·중소기업, 연구소 분야 등에 필요한 고급인재 배출을 목표로 한다.
교육과정표
융합전공학기 분류 혁신융합전공 개설과목 연계전공학기 화공생명배터리공학부 개설과목 기계공학전공 개설과목 전자공학전공 개설과목 (융전)
전학년
1학기초급 이차전지부품장비개론
이차전지핵심광물과공급망1-1 창의NTree 중급 이차전지소재분석공학
차세대셀설계공학
빅데이터기반이차전지진단
이차전지시스템열관리공학2-1 화공양론1
물리화학유체역학
공업수학1회로이론 1
물리전자공학 1
기초회로실험 12-2 화공양론2
분석화학실험응용열역학
응용재료역학회로이론 2
기초회로실험 2고급 이차전지제품분석PBL
이차전지작업장머신러닝PBL
이차전지시스템제어PBL
배터리전주기공정PBL3-1 (화공)열역학
유기합성실험진동학
기계설계전자회로
전자공학실험 1
제어공학(융전)
전학년
2학기초급 이차전지방화공학 이차전지안전의이해 이차전지전산해석개론 3-2 P-실무프로젝트 물질전달 자동제어 응용전자회로
전자공학실험 2
제어시스템설계중급 이차전지산업안전
셀특성평가공학
전극신공법공학
이차전지분석시스템공학
폐배터리재활용공학4-1 전기화학공학
재료공학열전달
CAE
종합설계고급 셀설계최적화PBL
이차전지평가모델링PBL4-2 고분자공학
창의적종합설계에너지공학 신청 대상 화공생명배터리공학부, 기계공학전공, 전자공학전공
(2024년까지 1, 2학년)(2025년부터 1학년2학기~4학년1학기 재학생)이수 학점 전공 ⦁ 이차전지혁신융합전공 인정교과목 42학점 이수 - 본인학과전공 18학점 + 혁신융합전공 18학점(초·중급 각 최소 2과목이상, 고급 최소 1과목이상 이수 필수) + 연계전공 6학점(타학과 및 융합전공포함) 부전공 ⦁ 이차전지혁신융합전공 인정교과목 21학점 이수 - 최소 2개이상 MD 이수 (중·고급 필수 각 1개 이상) + 연계전공 선택교과 또는 중·고급 필수교과목 자격취득 절차 신청서 제출 → 학점이수 → 자격신청서 제출 → 이차전지 공학사(혁신융합) 학위 취득 문의 사항 오선아 연구원 사무실: 가천관 1층 102호 문의처: 031-724-4510 -
반도체 부트캠프 융합전공
개요 및 교육목표
반도체 수요가 PC·모바일에서 자동차·로봇·에너지·바이오 등 전 산업으로 확산되는 시스템반도체 글로벌 경쟁이 심화되는 상황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반도체설계 분야 전문인력 양성이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이다. 4차 산업의 핵심 부품인 반도체 수요 증가에 따라 각 국의 기술 선점경쟁 본격화되고 있으며, 반도체는 개별소자를 시스템으로 통합화 및 모바일, 스마트홈, 자율주행차 등으로 서비스 가치를 창출하며 에너지‧의료‧환경 등 다양한 분야와의 융합할 수 있는 고부가가치의 회로 및 시스템 반도체로 진화하고 있다. 글로벌 반도체 환경변화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지속적인 R&D 인력확보를 통하여 경쟁력을 강화하고 다양한 분야에 대한 설계와 수주를 통하여 성장할 수 있는 숙련된 전문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 이러한 산업계의 요구에 따라 본 ‘반도체 부트캠프’ 사업단의 교육 목표는 반도체 설계와 회로 및 시스템 평가 인재 양성을 위해 실무 중심의 커리큘럼을 구성하되 반도체 산업의 다양한 직종군을 고려해 난이도별 과정을 수립하였다. 반도체 기반 집적회로에 관한 기초 공통과목을 선수로 아날로그, 디지털, 임베디드 트랙별로 세분화된 과목이수를 통한 중급 과정과 계절학기 고급 교육과정을 통해 현장 실무 중심의 인재로 발전할 수 있는 지식을 습득할 수 있다.
교육과정표
트랙 급수 교과목명 학년 비고 아날로그
시스템 설계 트랙초급 집적회로의 이해(3) 2~4학년 1,2학기 중급 회로 및 시스템(3) 3~4학년 1,2학기 전자회로(3) 아날로그 집적회로(3) 고급 아날로그 시스템 설계(3) 시스템 검증 및 분석1(3) 계절학기 시스템 검증 및 분석2(6) 단기현장실습1(3) 단기현장실습5(6) 인턴교육1(3) 인턴교육2(6) 디지털
시스템 설계 트랙초급 집적회로의 이해(3) 2~4학년 1,2학기 중급 회로 및 시스템(3) 3~4학년 1,2학기 디지털 집적회로(3) VLSI 시스템 설계(3) 고급 디지털 시스템 설계(3) 시스템 검증 및 분석1(3) 계절학기 시스템 검증 및 분석2(6) 단기현장실습1(3) 단기현장실습5(6) 인턴교육1(3) 인턴교육2(6) 임베디드 시스템
설계 트랙초급 집적회로의 이해(3) 2~4학년 1,2학기 중급 회로 및 시스템(3) 3~4학년 1,2학기 반도체 프로그래밍(3) 마이크로프로세서(3) 고급 임베디드 시스템 설계(3) 시스템 검증 및 분석1(3) 계절학기 시스템 검증 및 분석2(6) 단기현장실습1(3) 단기현장실습5(6) 인턴교육1(3) 인턴교육2(6) 구분 의공학과 개설과목 산업공학전공 개설과목 전기공학과 개설과목 컴퓨터공학전공 개설과목 1-2 C언어(3) 2-1 컴퓨터 프로그래밍(3)
전기회로(3)
디지털시스템(3)DB 구축 및 활용(3)
고급 프로그래밍(3)
경제성공학(3)회로이론(3) 자료구조(3)
컴퓨터구조(3)
리눅스(3)2-2 전기회로설계(3)
디지털시스템설계(3)
생체신호처리(3)데이터 사이언스(3)
컴퓨터 시뮬레이션(3)전자회로(3)
마이크로프로세서(2)데이터베이스(3)
운영체제(3)3-1 비주얼 프로그래밍(3)
생체전자회로(3)
생체전자기학(3)빅데이터 시스템 설계 및 분석(3)
작업 및 안전관리(3)전력전자공학(3)
전자회로응용(3)모바일프로그래밍(3)
알고리즘(3)
영상처리(3)
스마트기기시스템(3)3-2 생체센서회로설계(3)
임베디드응용프로그래밍(3)
의용계측(3)응용수학(3)
제품개발 및 설계(3)전력시스템공학(3)
전기전자물성공학(2)IoT프로그래밍(3) 4-1 임베디드응용프로그래밍(3) 스마트 제조(3)
신뢰성공학(3)반도체공학(3)
센서시스템공학(3)
전기전자재료공학(2)IoT유무선제어(3) 4-2 데이터 공학 및 과학실무(3) 반도체소자응용(3)
통신시스템공학(3)구분 신소재공학과 개설과목 화공생명공학전공 개설과목 화학과 개설과목 물리학과 개설과목 2-1 물리화학1(3)
재료과학1(3)물리화학(3) 분석화학1(3)
물리화학1(3)
유기화학1(3)현대물리1(3) 2-2 물리화학2(3)
재료열역학(3)
재료과학2(3)분석화학실험(3) 분석화학2(3)
물리화학2(3)3-1 재료구조학(3)
제어계측실습(3)유기합성실험(3)
열역학(3)
유체역학(3)에너지광화학(3)
기기분석(3)전자기학1(3)
양자역학1(3)
나노포토닉스1(3)
나노전자공학(3)3-2 반응공학(3)
열전달(3)양자역학2(3)
전자기학2(3)
열및통계물리2(3)
나노포토닉스2(3)4-1 전자재료(3)
반도체공학(3)분리공정(3)
재료공학(3)
전기화학공학(3)
공정제어(3)계산화학(3)
나노화학(3)고체물리1(3) 4-2 반도체소자공정(3)
에너지소자응용(3)
바이오소자응용(3)화공플랜트설계(3) 재료화학(3)
유기합성화학(3)
고분자재료화학(3)재료물리(3)
고체물리2(3)구분 기계공학전공 개설과목 바이오나노학과 개설과목 스마트팩토리전공 개설과목 2-1 재료역학(3)
열역학(3)
유체역학(3)유기화학1(3)
물리화학1(3)
바이오시스템통계학(3)공업수학1(3)
컴퓨터프로그래밍응용(2)
생산운영 시스템(3)2-2 응용재료역학(3)
응용열역학(3)
응용유체역학(2)물리화학2(3)
나노공학실험(2)
응용수학(3)공업수학2(3) 3-1 기계재료학(2) 빅데이터 개론 및 실습(3)
확률 및 통계(3)3-2 자동제어(3) 고분자과학(3) 인공지능 및 머신러닝(3)
자동제어(3)
전기전자공학 개론 및 실습(3)4-1 유체기계(3)
열전달(3)전달해석(3)
바이오기기분석(3)
나노화학(3)센서공학(3)
스마트공장 IOT시스템 설계 및 실습(3)4-2 열·유체실험(2)
에너지공학(3)바이오멤스 및 바이오칩(3)
나노소자공학(3)디지털생산공학(2) 신청 대상 전 학과 진입 가능
(초급 2, 3, 4, 학년/ 중고급 3, 4학년)이수 학점 초급 – 3학점 (모든학과)
중급 – 9학점 (초급 선이수, 모든 학과, 마이크로 디그리)
고급 - 9학점 (중급 선이수)- 융합연계전공: 융합연계 11개 학과 지정교과(21학점) 융합연계학과 주전공(본인학과 전공)21학점+21학점(부트캠프)
- 융합부전공: 모든 학과 21학점(부트캠프)자격취득 절차 신청서 제출 → 학점이수 → 자격신청서 제출 → 융합전공 및 부전공 학위, 마이크로디그리, 반도체 부트캠프 이수증 취득 문의 사항 조성보 주임교수 사무실: 반도체대학 410호 메일 : chipboot@gachon.ac.kr
전화 : 031-750-8803~8804 -
미래사회혁신융합전공
개요 및 교육목표
본 과정은 저출산 고령화, 수도권 인구집중, 이주민 증가, 1인 가구 증가 등 인구구조의 대전환 시대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지역과 학문 간 경계를 넘는 융합형 교육 플랫폼을 구축하고 사회복지학과, 스마트시티학과, 심리학과, 한국어문학과의 협업으로 인문사회 기반의 핵심 융합 인재를 양성하고자 한다. 세부적인 인재 양성모델을 아래와 같이 설정하고 있다.
-
1. BRIDGE Builder형 융합인재 양성을 통한 5대 핵심과제 대응
저출산/고령화, 다문화, 지역활성화/재생, 사회갈등/통합, 삶의 질 향상 과 같은 5대 핵심과제를 균형(B), 회복력(R), 포용성(I), 다양성(D), 성장(G), 참여(E) 분야의 BRIDGE Builder형 융합인재 양성을 통해 대응하고자 한다. -
2. ‘인구구조’ 주제를 5개 대학 1개 컨소시엄 구성으로 교류형 네크워크 교육모델 구축
성균관대학교, 가천대학교, 건양대학교, 충남대학교, 한동대학교 5개 대학이 인구구조 주제를 바탕으로 1개의 컨소시엄을 구성해 핵심 융합인재 2만 5천명을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대학 간 교류를 활성화해 다양한 지역 특성 및 학생 특성을 반영하여 네트워크 교육모델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교육과정표
구분 미래사회혁신
융합전공사회복지학과 심리학과 한국어문학과 스마트시티학과 1-1 심리학 개론(3) 한국어학의 이해(3)
동양고전산책(3)1-2 사회문제론(3) 한국문학의 이해(3) 2-1 사회와 언어문화(3)
지역사회의 언어(3)
인구변화와 복지국가(3)사회복지정책론(3)
가족복지론(3)행복심리학(3)
사회심리학(3)
이상심리학(3)구비문학과 스토리텔링(3) 도시사회통계학(3)
공간정보시스템(3)2-2 다문화의 인문·사회적 이해(3)
지역사회의 인문·사회적 이해(3)
사회변화와 스트레스(3)
행복의 인문·사회적이해(3)
복지국가와 삶의 질(3)사회보장론(3)
사회복지실천기술론(3)문화심리학(3)
성격심리학(3)
건강심리학(3)도시빅데이터분석(3) 3-1 비폭력대화(3)
지역문화 탐방(하계계절학기)(3)프로그램 개발과 평가(3)
노인복지론(3)심리검사 및 실습(3)
상담심리학(3)한국문학과 세계문학(3)
방언과 사회(3)스마트시티의 이론과 실제(3) 3-2 P-실무 프로젝트(인문사회)(3) 사례관리론(3)
정신건강사회복지론(3)
아동복지론(3)4-1 정신건강 증진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3) 사회복지와 문화다양성(3)
비교사회정책(3)심리치료(3)
사회·정서 신경과학 및 실습(3)한국어교육학의 이론과 실제(3) 도시안전과 회복력(3) 4-2 긍정임상심리학 및 실습(3) 자원봉사론(3) 고전과 문화컨텐츠(캡스톤)(3)
어문규범과 국어생활(3)신청 대상 사회복지학과, 심리학과, 한국어문학과, 스미트시티학과
(1학년 2학기~4학년 1학기자)이수 학점 융합전공 - 미래사회혁신융합전공 인정교과목 42학점 이수
- 융합전공 교과목 최소 15학점 이수(컨소시엄 내 타 대학 개설 융합전공도 포함)
- 본인 학과 전공 15학점 중복인정가능
- 연계 학과 전공 최소 6학점 이수융합부전공 - 미래사회혁신융합전공 융합전공 인정교과목 21학점 이수
- 융합전공 교과목(컨소시엄 내 타 대학 개설 융합전공도 포함) + 연계 학과 전공 교과목
- 융합전공 교과목 최소 9학점 이수
- MD 최소 1개 이상 이수자격취득 절차 신청서 제출 → 학점이수 → 자격신청서 제출 → 미래사회혁신 문학사(융합) 학위 취득 문의 사항 인문사회융합인재양성사업단 사무실 가천관 102호 Tel)031-724-4512,3 -
-
바이오로직스 부트캠프 융합전공
개요 및 교육목표
바이오로직스란 생물학적 원료를 사용하여 제조된 의약품을 의미하며,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전 세계적으로 관련 산업의 급속한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산업 발전에 따라 다수의 전문인력이 필요한 상황이나 인력 공급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만성적인 문제를 갖고 있으며, 각 기업 별 우수 인력 채용에 어려움이 따르는 현실이다.
이러한 산업계의 요구에 따라 본 '바이오 부트캠프' 사업단은 전문교육기관 및 배후기업과의 연계를 통한 다양한 경험/실무 중심의 교육으로 바이오로직스 기업에 활용 가능한 적정 인재양성을 목표로 하는 심도별 맞춤형 교육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바이오로직스 산업의 필수 분야인 생산공정 분야와 품질관리 분야로 전문 트랙을 나누어 교육과정을 운영하며, 각 트랙 별로 심도있는 이론/실습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외부 전문교육기관을 활용하여 실무중심적 실습교육이 진행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교육과정표
구분(수준) 트랙 교과목 학년 비고 초급 공통 바이오의약품학(부트캠프)(3) 3 계절학기 중급 공통 바이오GMP(기초)(부트캠프)(3) 3 1학기,2학기 생산공정 생물화학공학(부트캠프)(3) 3 생물분리정제(부트캠프)(3) 3 품질관리 바이오기기분석(부트캠프(3) 3 바이오의약품 품질관리(부트캠프)(3) 3 고급 공통 바이오GMP(심화)(부트캠프)(3) 4 계절학기 바이오로직스 현장실습(부트캠프)(3) 4 계절학기 생산공정 바이오배양공정(부트캠프)(3) 4 1학기, 2학기 바이오정제공정(부트캠프)(3) 4 1학기, 2학기 생산공정실습(부트캠프)(3) 4 계절학기 품질관리 의약품 규제과학(부트캠프)(3) 4 1학기, 2학기 바이오의약품 비임상/임상평가(부트캠프)(3) 4 1학기, 2학기 품질관리실습(부트캠프)(3) 4 계절학기 신청 대상 ▶바이오나노학과, 생명과학과, 식품생명공학과, 식품영양학과, 화공생명공학전공, 화학과
▶초급, 중급, 고급: 3,4학년 대상(2학년 학생은 2학기 수강 후 계절학기에 초급과정만 수강 가능)이수 학점 ⦁ 초급: 3학점(모든 학과)
⦁ 중급: 9학점(초급 선이수 학점 포함, 모든 학과)
⦁ 고급: 21학점(중급 선이수 학점 포함)⦁ 바이오로직스 부트캠프 부전공: 몰입형 교과목 21학점 (부트캠프 교내 실습교과목 6학점 포함)
⦁ 바이오로직스 부트캠프 융합전공: 몰입형 교과목 21학점 (부트캠프 교내실습 교과목 3학점과 협력기관 파견실습 3학점 포함) + 주전공 및 Core 학과 이수지정 교과목(교과형 교과목) 21학점자격취득 절차 프로그램 신청 → 학점이수 → 자격신청서 제출 → 융합전공 또는 부전공학위 취득/각 과정별 이수증 취득 문의 사항 박영서 사업단장 사무실 : 가천관 102-A호 메일: bioboot@gachon.ac.kr
전화: 031-724-4525~4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