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과목 | 동일과목(핵심어를 중심으로) | 불인정과목 |
---|---|---|
식품학 | 식품과학, 식품의 이해, 바이오식품학, 현대인과 식품, 기능성식품학, 식품화학, 식품평가, 식생활관리, 식생활관리이론 | 식음료 경영의 이해, 영양 판정 및 실습 |
조리학 | 조리원리, 조리과학, 실험조리, 식품조리원리, 한국조리, 서양조리, 한국조리원리, 전통식품조리 및 스타일링, 식품재료 및 조리원리, 외국조리, 전통조리, 다량조리실습, 한국음식문화, 서양음식문화, 조리실습, 식품(학) 및 조리원리, 외식영양과 조리이론 | |
영양학 | 기능성영양학, 생활(애)주기영양학, 영양의 이해, 지역사회영양학, 임상영양학, (고급,응용)인체영양학, 특수영양학, 생활속의 영양학, 현대인의 영양, 영양과 건강, 공중영양학, 식품영양학, 영양학 및 식이요법, 영양생화학, 식품영양화학, 영양화학, 영양생리학, 스포츠영양학, 아동영양, 아동가족영양학, 운동영양학학 | 영양병리, 식이요법, 영양교육, 영양판정 |
식품미생물학 | 동물식품미생물학, 임상식품미생물학, 발효식품과 미생물 | |
식품위생학 | 동물식품위생학, 식품위생 및 법규, 식품위생관리학, 식품위생 및 관리, 시설위생학, 식품안전 및 법규, 위생관리, 조리위생학, 위생학, 식품위생관리, 식품위생과 법류, 위생관리 연구, 위생관리 특론, 식품위생 안전 관리 | 최근식품관계법규, 식품위생법규 |
식품분석학 | 식품분석화학, 식품분석실험, 식품영양분석실험, 식품성분의 분석실험, 식품유기분석학, 영양소분석 및 평가 | 기기분석 |
식품발효학 | 발효식품학, 발효공학, 발효화학, 발효학, 식품발효공학, 발효식품제조학, 식품생물공학, 발효미생물학, 미생물공학 | |
식품가공학 | 식품가공저장학, 식품가공 및 저장학, 곡류가공학, 과채류가공학, 식육가공학, 농산가공학, 육가공학, 가공식품학, 곡물가공학, 농산식품가공학, 수산식품가공학, 축산식품가공학, 축산가공학, 원예가공학, 식품제조관리, 유가공학, 외식가공학 | 통조림학 |
식품재료학 | 식품원료학, 제과제빵재료학, 식품정보, 식품구매, 식품재료학 및 구매 | |
식품보전학 | 식품냉동학, 식품포장학 | |
저장학 | 동물식품저장학, 식품저장학, 식품저장공학, 식품저장 및 식품개발, 식품저장 및 포장학, 식품냉동학, 식품포장학 | |
식품공학 | 식품공정공학, 식품공정관리(및실습) | |
식품화학 | 동물식품화학, 기능성식품화학, 분석화학, 식품물리화학, 식품화학과 가능성, 보건식품화학 및 위생학, 식품생화학, 식품일반성분학, 식품특수성분학, 생활유기화학 | |
첨가물학 | 식품첨가물학, 식품첨가물화학 | |
공중보건학 | 보건학, 현대공중보건학, 보건위생학, 위생관리, 보건관리, 공중구강보건학, 노인보건학, 공중위생학, 공중보건 및 법규, 공중위생 관리학, 공중보건 및 위생법규 | 보건관계법규 |
위생곤충학 | 곤충위생학, 위생곤충실험, 위생해충관리(및실습), 위생해충(및 실습) | |
환경위생학 | 환경위생시험법, 환경보건학, 생활위생학, 병원환경위생학(및 실험) | 폐수처리장설계 |
미생물학 | 환경미생물학, 산업미생물학, 미생물의 세계, 병원미생물학, 임상미생물학, 미생물생화학, 생화학미생물학, 미생물학의 이해, 공업미생물학, 환경보건미생물학, 발효생리학, 수의세균학, 수의바이러스학, 화장품미생물학, 수의미생물학, 응용미생물학, 낙농미생물학, 약품미생물, 미생물과 감염관리, 한방응용미생물학, 농업미생물학 | |
기생충학 | 임상기생충학, 수의기생충학 | |
환경생태학 | 생태학(및실험), 미생물생태학, 지구환경생태학, 환경생태조사, 환경생물학, 환경학개론, 환경미생물학, 환경조경생태학 | |
전염병관리학 | 수의전염병학, 전염병학, 병원미생물학, 미생물독소학 | |
상하수도공학 | 환경상수도공학, 하수도공학, 하수도공학설계, 상하수도계획, 상수도공학, 청정환경기술 | |
대기오염학 | 대기오염기상학, 대기오염제어(공학), 대기오염방지기술, 대기오염방지공학, 대기관리, 대기오염분석, 대기오염조사론, 대기관리공학, 대기환경공학, 실내공기질, 환경기후학, 환경미기상학 및 모델링, 대기확산론, 대기환경보건학, 환경오염공정시험법 | |
수질오염학 | 수질관리, 수질오염과 건강, 수질관리학, 해양오염, 수질오염제어, 수질오염방지기술, 수계환경오염론, 지하수지질학, 수질환경보건학, 고도폐수처리, 폐수처리공학, 수질오염방지공학, 수질관리공학 | |
수질학 | 수질관리, 수질공학, 수질분석(및실험), 먹는물학개론, 수질관리공학, 수질화학, 수질오염방지공학, 지하수지질학, 수화학, 수리학, 수처리공학 | 소음진동방지기술 |
수질시험학 | 수질분석(및실험), 수처리(및실험), 수질실험, 수질시험법, 먹는물시험법, 호소생태학(및실험), 폐수처리실험, 수질오염실험, 환경오염실험, 수질오염방지기술, 수질오염공정시험법 | |
오염·폐기물학 | 폐기물개론, 폐기물오염론, 도시폐기물처리, 산업폐기물처리, 고형폐기물처리, 액상폐기물처리, (생활)폐기물관리, 폐기물관리 및 처리공학, 폐기물처리공학, 폐기물처리기술, 일반폐기물처리, 고형폐기물의 종합적관리, 분뇨 및 슬러지처리 | |
폐수처리학 | (산업)폐수처리공학, 하폐수처리공학, 용폐수처리공학, 식품폐수처리, 환경미생물 및 폐수처리, 수위생처리학, 물리화학적수처리 | |
산업위생학 | 산업위생관리, 산업보건학, 산업안전보건론, 직업환경관리 | |
환경공학 | 환경시스템개론, 환경과학개론, 환경공정실습, 환경화학, 생물학적수처리, 소음진동학, 환경화학공학 | 환경재료 및 리사이클링 |
위생화학 | 환경화학, 위생유기화학, 보건화학(및실험), (보건)생화학, 환경위생화학 | |
위생공학 | 환경공학 |
기타인정사항 : 동일과목 심사를 통하여 인정받은 과목의 경우 (해당학교의 학과에 한함)
기준과목 | 인정과목 | 인정대학 |
---|---|---|
식품가공학 | 농산물가공이용학, 축산물가공이용학, 농축산식품이용학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응시자격: 재학 4학기 이상(완료), 보건위생에 관한 교과목을 전공으로 1과목 이상 이수 완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