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티예술경영전공(Beauty Art Administration)
전공 소개
가천대학교 경영대학원 뷰티예술경영전공은 2003년도에 개설된 학과로 헤어, 스킨케어, 메이크업, 웨딩 등의 뷰티예술학과 고객관계, 재무, 회계, 인적자원관리론 등 다양한 경영학 관련 과목의 융합적 안목을 가지고 비즈니스마인드를 갖춘 전문미용인을 양성하고 있다.
전공수업과 다양한 경영수업과정 이론을 진행하며 이러한 통합적 학습 훈련을 통해 뷰티산업분야의 CEO로서의 자질함양과 프로페셔널 마케팅 전문가로서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심혈을 기울이고 있으며, 뷰티분야의 사회적인 현상과 트렌드를 연구하고 뷰티경영 고객관리를 통한 뷰티서비스의 최대화를 위하여 뷰티분야의 전문 지식과 예술적 창의력을 실천할 수 있는 미적 감각 함양과 체계적인 고객경영관리로 뷰티서비스의 세분화·다양화·전문화를 실천한다.
전공수업과 다양한 경영수업과정 이론을 진행하며 이러한 통합적 학습 훈련을 통해 뷰티산업분야의 CEO로서의 자질함양과 프로페셔널 마케팅 전문가로서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심혈을 기울이고 있으며, 뷰티분야의 사회적인 현상과 트렌드를 연구하고 뷰티경영 고객관리를 통한 뷰티서비스의 최대화를 위하여 뷰티분야의 전문 지식과 예술적 창의력을 실천할 수 있는 미적 감각 함양과 체계적인 고객경영관리로 뷰티서비스의 세분화·다양화·전문화를 실천한다.
교육 목표
현대사회는 이미지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미의 추구 및 웰빙과 웰니스를 지향하고 있다. 과거의 단순한 루키즘이 아닌 건강하고 아름다운 삶을 지향하는 현대인들의 니즈를 반영하여 뷰티와 패션분야의 사회적인 현상과 트렌드를 연구하고 이를 충족시킬 수 있는 뷰티전문가 및 고급인력 양성을 목표로 한다.
졸업 후 진로 및 혜택
미용전문가 | 헤어디자이너, 피부관리사, 메이크업아티스트, 네일리스트, 두피관리사, 뷰티스타일리스트, 코디네이터, 웨딩플래너 등 |
---|---|
교육 분야 | 대학교수, 미용계 고등학교 교사 및 학원강사, 직업학교 교사, 화장품회사 교육강사, 문화센터 및 평생교육원 강사 등 |
화장품산업 | 화장품연구원, 향장관련 마케팅전문가, 뷰티레이터 등 |
자영업 | 헤어샵, 피부관리실, 화장품전문점, 메이크업전문샵, 웨딩샵, 네일샵 등 |
교과편성표
구분 | 과목1 | 과목2 | 과목3 | 년도학기 |
---|---|---|---|---|
1차 학기 | 21세기 뷰티기획 | 뷰티논문초독세미나 | 소규모 뷰티경영특론 | 2018-1 |
2차 학기 | 뷰티마케팅연구특론 | 고객심리연구 | 메디컬 뷰티케어 | 2018-2 |
3차 학기 | 뷰티비지니스현장의이해 | 뷰티문화사특론 | 뷰티기업전략및사례연구 | 2019-1 |
4차 학기 | 융합뷰티문화사 | 뷰티인적자원경영 | 코디네이션특론 | 2019-2 |
교과목 해설
- 21세기 뷰티기획(21 Century Culture Project)
21세기의 특성, 경향, 추세 등의 사례분석을 통해 새로운 비전이 요구되는 시대이다. 휴머니즘의 기치 아래 뷰티문화기획의 진취적인 새로운 방향을 모색한다 - 뷰티논문 초독세미나(Reading of Beauty Literature Seminar
미용관련 논문 초독을 통해 미용 분야 관련 지식의 축적, 최근 추세, 연구방법론의 변화 등에 관하여 연구한다 - 소규모 뷰티경영특론(Special Topics in Small-scale Beauty Management
스타트업 투자동향에 따른 정보와 규모에 알맞는 뷰티 관련 투자 흐름 - 뷰티마케팅연구특론(Advanced The Study of Beauty Industry
뷰티산업의 규모와 기능, 뉴 트랜드의 파악을 통해 마케팅 육성, 촉진방안을 모색한다 - 고객심리연구(Study of Customer Psychology
인간의 심리와 상담원리를 연구하여 고객 응대법, 전화응대법, 서비스관리를 통해 효과적인 고객관리를 하도록 학습한다 - 메디컬 뷰티케어(Beauty Care in Medical
뷰티관리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메디컬에서의 응용, 접목하는 연구를 통해 메디컬 모발케어에 대해 정립한다 - 뷰티비지니스 현장의 이해(Understanding Beauty Business Scene
최근 빠른 뷰티 산업시장의 도시화와 현대화로 전문직에 종사하는 여성들의 수가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전문직의 여성들은 외모와 이미지를 중시하는 경향이 있어 프리미엄 시장이 급속도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 뷰티문화사특론(Advanced History of Cosmetology Culture
미용문화의 역사와 미용과 관련된 국내, 외의 문화사를 포괄적으로 다룸으로서 인류의 역사와 함께 문화사적인 특징 등을 알아보고 미용문화의 정통성을 확립한다 - 뷰티기업전략 및 사례연구(Business Strategics for Beauty & Case Study
미용기업의 경쟁우위의 전략, 성장전략, 기업가치 극대화 전략을 통한 기업전략을 연구하고, 다양한 기업사례를 통해 미용기업의 사례별 분석, 연구한다 - 융합 뷰티문화사(Lectures for Integrated Beauty
다양한 분야의 융합 가능성을 토론하고 문화, 뷰티디자인 산업 및 학계에 몸담고 있는 공적인 인사와의 세미나를 통해 알아보고 연구한 분야에 대해 학습하고 진행한다 - 뷰티인적자원경영(Human Resource Management of Beauty
뷰티현장에서의 인적자본과 운영에 있어서 중요한 인적자원관리 이론과 실제를 연결한 뷰티분야에서의 전문적 인적자원 관리기법을 익히고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 코디네이션특론(Advanced Coordination
코디네이션의 기본 원리와 배색기법, 코디종류, 소재분류 등을 통해 미용과 의상과의 조화를 연구 개발함으로써 미용과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메이크업, 코디, 헤어미용이 함께 조화를 이루어 최상의 효과를 내는 방법을 연구개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