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수치료학과 공통과목
- 논문작성법 Writing Method of A Master`s Thesis
- 논문 주제 설정에서부터 논리적인 글쓰기 및 전개 방식을 비롯해 참고문헌 작성에 이르기까지 석사학위논문 작성에 필요한 제반 사항들을 구체적으로 다룬다. 또한 논문 작성 과정에서 반드시 지켜야 할 윤리적인 사항들을 살피고 이를 숙지한다.
- 보건복지개론 Introduction to Public Health and Social Welfare
- 보건의료와 사회복지는 삶의 질을 높이고 인간의 행복을 증진하는 역할을 한다. 현대사회에서 갈수록 연계성이 커지는 보건의료와 사회복지제도의 현황을 살펴보고, 두 제도가 역사적으로 어떻게 발전해왔는지를 연구한다.
- 상담 및 심리치료이론 Theories of Psychology and Counseling dd>상담과 심리치료에 대한 주요 이론적 접근들을 살펴보고 각 이론의 주요개념, 치료의 기법과 진행과정, 기제, 적용 등을 이해한다.
- 상담심리학(구, 상담 및 심리치료이론) Counseling Psychology
- 상담심리에 대한 체계적인 지식과 실제를 탐구하여, 자신과 타인의 심리적인 문제해결에 대한 상호작용의 원리와 기술을 습득하고 인간의 성장에 필요한 조건들을 학습하고 이해한다.
- 심리검사 이론 및 실습 Theories and Practices of Psychological Assessment
- 객관적 심리검사, 투사법, 행동관찰법 등 주요한 심리평가방법에 대한 이론을 학습하고 이를 토대로 아동 심리장애 진단에 사용되는 심리검사의 종류와 특징을 이해하며 종합심리평가의 실시 및 해석능력을 습득한다.
- 심리학개론 Introduction to Psycholgy
- 인간의 심리를 이해하는 기초학문으로써 심리학의 과학적 접근방법, 인간 이해의 방식, 그리고 심리학의 전반적이고 기본적 지식을 습득한다.
- 언어발달 및 치료전략 Language Development & Intervention Strategies
- 언어능력의 향상은 치료 효과를 보여주는 가장 두드러진 지표 중 하나이다. 본 교과목에서는 출생과 더불어 시작되는 언어의 발달과 습득 과정을 자세히 다루고,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문제들과 이를 중재하기 위한 언어치료전략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학생들의 연구와 임상 능력을 함양시키고자 한다.
- 연구방법론 Research Methodology
- 보건학 및 심리학 연구의 기본개념을 이해하고 스스로 연구 설계를 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고, 연구계획서를 작성하고 평가할 수 있도록 한다.
- 영상영화치료학개론 Introduction of Cinematherapy
- 영상영화상담의 기본적인 이론을 학습하고 사진과 영화를 활용하여 여러 상담 장면에서 치료적 적용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에 대한 기초적인 이론을 학습한다.
- 예술치료개론 Introduction of Arts Therapy
- 심리치료에서 활용되는 다양한 예술치료의 전반적인 개념을 학습하고 이를 토대로 각기 다른 대상에게 적용 및 통합되는 과정을 이해한다.
- 의사소통장애학개론 Introduction to Communication Disorders
- 출생에서 사망에 이르기까지 전생애적 조망에서 의사소통장애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다룬다. 전형적인 언어 및 의사소통의 발달, 아동 언어장애, 문해장애, 성인언어장애, 유창성장애, 음성장애, 조음음운장애, 구개파열, 신경말장애, 삼킴 장애, 청각학 및 청각장애, 보완 대체의사소통 등 언어병리학을 구성하는 전 영역에 대한 기초 지식을 배운다.
- 이상심리학 Abnormal Psychology
- DSM-5를 중심으로 이상행동(또는 정신병리) 및 정신장애의 종류, 임상적 특징, 원인에 대해 살펴보고,이상행동 및 정신장애에 대한 최신 이론적 접근과 심리치료에 대해 학습한다.
- 장애아동 부모교육 및 상담 Education and Counseling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 장애아동의 가족과 협력하여 성공적으로 장애아동 교육을 하기 위해서는 장애아동이 속한 가족에 대해 이해하고, 가족 특성에 따른 지원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본 교과목에서는 장애아동이 속한 가장 중요한 환경인 장애아동 가족특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바탕으로 발달재활서비스 현장에서 활용가능한 가족지원에 대해 학습함으로써 현장에서 장애아동 가족지원을 실천할 수 있도록 한다.
- 장애아동의 이해 Understanding Children with disability
- 장애아동에 관한 전반적인 이해와 더불어 아동의 성장과 발달을 위한 치료과정, 가족상담 접근방법 및 영역별 상담 전략들을 학습하여 치료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 전 생애 발달 이론의 적용 Appilication of Human Development
- 출생부터 죽음에 이르기까지 전 생애에 걸친 인간발달의 신체적,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 발달 특성을 체계적으로 개관하고 각 영역별 발달의 분석적 이해 및 통찰력을 임상에 적용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 정신의학 psychiatry
- 정신건강, 정신병리 및 인간관계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정신의학적 진단 및 치료에 필요한 기본적인 생물학적, 심리학적, 사회학적인 지식을 습득한다.
- 질적연구방법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 사회와 인간의 현상을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요구되는 질적 연구 방법론의 주요개념과 인식론적 토대를 이해한다. 담론분석, 심층인터뷰, 포커스그룹 인터뷰, 참여관찰, 역사연구방법 등 다양한 질적 방법론의 절차와 기술을 학습한다.
- 통계학 Statistics
- 보건통계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을 학습하고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제 자료를 분석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 특수교육학 Special Education
- 언어발달장애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특수아동, 즉 지적장애, 자폐범주성장애, 뇌성마비, 시각장애, 청각장애 및 기타 발달장애를 지닌 아동들의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들에 대한 언어 및 의사소통 문제를 평가하고 치료하는 방법들을 배우는 데 목표를 둔다.
◆ 작업치료 공통과목
- 공공의료 Public Health Care
- 공공의료의 역사와 공공의료 정책의 흐름 속에서 공공보건 의료기관의 기능 및 역할을 연구한다.
- 근골격계 작업치료 occupational therapy for musculoskeletal disorders
- 근골격계의 손상 또는 질환을 이해하고 기능상의 문제들을 작업치료 접근 방법으로 중재한다.
- 보건경영 Health management
- 보건 분야에서 작업치료의 영역을 이해하고 리더로서의 자질을 키우기 위한 경영 방법에 대해 강의하고 토론한다.
- 장애관련 법규 및 윤리 Disability legislation and ethics
- 장애와 관련한 법률에 대해 알아보고 그 근거로 작업치료 영역에서의 역할 확대 방법을 토론하도록 한다.
- 보건의료정책 Health and Medical Policy
- 작업치료프로그램을 보건의료환경에서 경영하고 발전시키는 조직관리와 행적원리에 대해 탐색한다.
- 정신건강개론 Introduction to Mental Health
- 정신 사회적 문제를 가진 환자들을 위한 평가와 치료에 관한 최신경향을 연구한다.
- 연구방법론(작업치료) Research methodology
- 작업치료에 관련된 논문을 이해하고 기본적인 연구설계법, 자료분석 및 해석방법 등 전반적인 연구방법을 학습하여 연구수행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 공공의료 Public Health Care
- 공공의료의 역사와 공공의료 정책의 흐름 속에서 공공보건 의료기관의 기능 및 역할을 연구한다.
- 근골격계 작업치료 occupational therapy for musculoskeletal disorders
- 근골격계의 손상 또는 질환을 이해하고 기능상의 문제들을 작업치료 접근 방법으로 중재한다.
- 보건경영 Health management
- 보건 분야에서 작업치료의 영역을 이해하고 리더로서의 자질을 키우기 위한 경영 방법에 대해 강의하고 토론한다.
- 장애관련 법규 및 윤리 Disability legislation and ethics
- 장애와 관련한 법률에 대해 알아보고 그 근거로 작업치료 영역에서의 역할 확대 방법을 토론하도록 한다.
- 보건의료정책 Health and Medical Policy
- 작업치료프로그램을 보건의료환경에서 경영하고 발전시키는 조직관리와 행적원리에 대해 탐색한다.
- 정신건강개론 Introduction to Mental Health
- 정신 사회적 문제를 가진 환자들을 위한 평가와 치료에 관한 최신경향을 연구한다.
- 연구방법론(작업치료) Research methodology
- 작업치료에 관련된 논문을 이해하고 기본적인 연구설계법, 자료분석 및 해석방법 등 전반적인 연구방법을 학습하여 연구수행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 운동치료 공통과목
- 근골격계수기치료 Study on Manual Treatment of WMSDs(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 근육의 통증, 저림, 마비, 기능장애, 부종, 체형,균형 등과 같은 근골격계질환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체의 근골 격계 구조, 근육의 기능, 운동학적 움직임에 기초하여 연구하고 치료한다.
- 운동 기능학 실험 Exercise Function Test
- 인간의 운동 기능학적 움직임을 학습한다. 각 인체의 상호작용 원리와 기술을 습득하고 적용 학습, 분석하여 연구한다.
- 운동 심리학 치료 Sport Psychology Cure
- 스포츠 현장에서 운동 기능의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사회적 요인을 알고 그 과정을 규명하며, 경기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이론적 체계를 배운다.
- 운동영양학요법 exercise nutrition therapy
- 운동 및 스포츠 분야에서 영양의 역할과 식사법 등을 실험하고 연구하는 학문으로, 운동선수의 성별, 연령, 체중, 스포츠 종류와 강도 및 시간 등을 고려하여 영양 섭취가 열량 소비와 균형을 이뤄 질병을 이겨낼 뿐만 아니라 환경에 대처하는 능력이나 감정적·정신적 요인들을 이겨내는 데에 효과를 나타내어 부상을 최소화하거나 부상에서 빠르게 회복하도록 돕는 등 운동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운동처방 Exercise Prescription
- 과학적 이론을 바탕으로 스포츠 활동에 대한 인체의 반응 및 수행과정에 대해 기초를 확립하고, 체력과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다양한 스포츠 활동을 보다 체계적이고 과학적 방법을 통해 익히며, 각종 질환 의 예방과 개선을 위한 운동프로그램을 습득하여 건강한 삶을 영위하는데 목적이 있다.
- 운동치료 Exercise therapy
- 부상을 입은 운동선수의 부상회복을 위한 치료방법 중, 운동치료에 대한 기본적 이론원리, 최근연구내용, 그리고 운동치료방법 등을 학습을 토대로 실제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운동치료방법을 계획 및 실행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 체육학 연구법 Study of Physical Education
- 과학적, 사회적 이론을 배경으로 현대사회의 스포츠를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을 탐구한다.
- 트라우마 치료 Trauma Therapy
- 트라우마 치료의 원리를 이해하고, 신체심리적 기법을 통해 심신을 안정화, 트라우마 기억 활성화, 신경계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방출시키는 기법을 연구하고 학습한다.
- 트레이닝방법론 training methodology
- 본 교과목을 통하여 트레이닝의 이론적 기초 및 신체특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체력의 각 요인을 향상 시키는 방법을 학습한다. 또한 운동과 건강요인과의 상호관계를 이해하고, 현장에서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트레이닝방법을 선행자료를 토대로 분석, 활용하여 습득하는데 주안점을 둔다.
- 트레이닝치료세미나 Seminar of Training Therapy
- 트레이닝치료의 실제적인 현장 중심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트레이닝치료의 기초 및 임상활용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트레이닝을 보다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는 방법을 학습한다.
- 필라테스치료Ⅰ Pilates therapyⅠ
- 현대인들에게 빈번히 발생하는 신체의 부정렬과 그로 인한 통증양상을 이해하고 이를 예방 및 완화하는데 도움이 되는 필라테스치료로서 조셉 필라테스의 34개 고전적인 매트 운동에 기초를 두고 있다. 좋은 자세, 몸의 균형, 근육 발달 등 전체적으로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움직임들을 실습과 티칭을 통해 습득한다. 자세분석부터 신체부위별 재활프로그램 구성까지 실제적인 현장기반 수업을 통해 필라테스치료 전문가로서의 기초역량을 강화하는데 그 목표를 둔다.
- 필라테스치료 II Pilates therapy II
- 현대인들에게 빈번히 발생하는 신체의 부정렬과 그로 인한 통증양상을 이해하고 이를 예방 및 완화하는데 도움이 되는 필라테스치료로서 조셉 필라테스의 34개 고전적인 매트 운동에 기초를 두고 있다. 바른 자세, 몸의 균형, 근육 발달 등 전체적으로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움직임들을 실습과 티칭을 통해 습득한다. 자세분석부터 신체부위별 재활프로그램연구와 시퀀스 구성까지 실제적인 현장기반 수업을 통해 필라테스치료 전문가로서의 기초역량을 강화하는데 그 목표를 둔다.
- 근골격계수기치료 Study on Manual Treatment of WMSDs(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 근육의 통증, 저림, 마비, 기능장애, 부종, 체형,균형 등과 같은 근골격계질환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체의 근골 격계 구조, 근육의 기능, 운동학적 움직임에 기초하여 연구하고 치료한다.
- 운동 기능학 실험 Exercise Function Test
- 인간의 운동 기능학적 움직임을 학습한다. 각 인체의 상호작용 원리와 기술을 습득하고 적용 학습, 분석하여 연구한다.
- 운동 심리학 치료 Sport Psychology Cure
- 스포츠 현장에서 운동 기능의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사회적 요인을 알고 그 과정을 규명하며, 경기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이론적 체계를 배운다.
- 운동영양학요법 exercise nutrition therapy
- 운동 및 스포츠 분야에서 영양의 역할과 식사법 등을 실험하고 연구하는 학문으로, 운동선수의 성별, 연령, 체중, 스포츠 종류와 강도 및 시간 등을 고려하여 영양 섭취가 열량 소비와 균형을 이뤄 질병을 이겨낼 뿐만 아니라 환경에 대처하는 능력이나 감정적·정신적 요인들을 이겨내는 데에 효과를 나타내어 부상을 최소화하거나 부상에서 빠르게 회복하도록 돕는 등 운동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운동처방 Exercise Prescription
- 과학적 이론을 바탕으로 스포츠 활동에 대한 인체의 반응 및 수행과정에 대해 기초를 확립하고, 체력과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다양한 스포츠 활동을 보다 체계적이고 과학적 방법을 통해 익히며, 각종 질환 의 예방과 개선을 위한 운동프로그램을 습득하여 건강한 삶을 영위하는데 목적이 있다.
- 운동치료 Exercise therapy
- 부상을 입은 운동선수의 부상회복을 위한 치료방법 중, 운동치료에 대한 기본적 이론원리, 최근연구내용, 그리고 운동치료방법 등을 학습을 토대로 실제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운동치료방법을 계획 및 실행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 체육학 연구법 Study of Physical Education
- 과학적, 사회적 이론을 배경으로 현대사회의 스포츠를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을 탐구한다.
- 트라우마 치료 Trauma Therapy
- 트라우마 치료의 원리를 이해하고, 신체심리적 기법을 통해 심신을 안정화, 트라우마 기억 활성화, 신경계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방출시키는 기법을 연구하고 학습한다.
- 트레이닝방법론 training methodology
- 본 교과목을 통하여 트레이닝의 이론적 기초 및 신체특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체력의 각 요인을 향상 시키는 방법을 학습한다. 또한 운동과 건강요인과의 상호관계를 이해하고, 현장에서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트레이닝방법을 선행자료를 토대로 분석, 활용하여 습득하는데 주안점을 둔다.
- 트레이닝치료세미나 Seminar of Training Therapy
- 트레이닝치료의 실제적인 현장 중심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트레이닝치료의 기초 및 임상활용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트레이닝을 보다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는 방법을 학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