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목별 기술 흐름도
교과목해설
- C언어(C language)
실직적으로 모든 컴퓨터 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언어인 C를 학습한다. 특히 포인터와 구조체에 대한 심도 있는 학습으로 이후의 고급 언어를 학습하기 위한 기본 지식을 함양한다. - 이산수학(Discrete Mathematics)
기초공학설계(Elementary Engineering Design) 전산학에 사용되는 수학적 개념인 집합, 관계, 함수, 그래프, 트리, 논리, 명제, 부울 대수 등을 습득함으로써 논리적 사고력을 높이며, 수학이 컴퓨터의 여러 분야에서 어떻게 응용되는지 익힌다. - 기초공학설계(Elementary Engineering Design)
공학교육을 처음 접하는 공학도들에게 설계에 대한 기초 개념및 설계 과정에 대한 순서를 전달하고 소규모, 중규모, 대규모 프로젝트를 통하여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구체화시켜 제품화가 되는 과정을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을 익혀서 향후 사회에 진출하여 현장 적응 능력을 키운다. - 자료구조및실습(Data Structure)
배열, 스택, 큐, 리스트, 트리, 그래프, 정렬, 탐색 등 프로그래밍과 소프트웨어의 기본이 되는 자료구조를 학습하고 이를 기반으로 기존 프로그래밍 구조를 분석/설계한다. - 컴퓨터구조(Computer Architecture)
컴퓨터 시스템의 중앙처리장치를 구성하는 제어장치, 연산장치 및 기억장치, 입출력장치 등의 구조, 동작원리, 응용 방법을 학습하여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상호작용을 배우고, 나아가 파이프라인, 백터 프로세싱 등과 같이 진보된 하드웨어 구조를 배운다. - 오픈소스소프트웨어및실습(Opensource Software)
본 교과에서는 SW개발자의 필수 소양이 되고 있는 OSS의 기본 개념과 소개하고 Linux을 기반으로 Github, Shell Script, Awk, Perl 등의 다양한 오픈 소스의 사용 방법을 학습한다 - 클라우드플랫폼개론(Introduction of Cloud Platform)
클라우드 플랫폼의 *aaS의 구조에 대한 기본 개념을 기반으로 관련 플랫폼 구축을 위한 다양한 Data repository (Data lake, Data warehouse)를 학습한다. 또한, 간단한 애플리케이션을 클라우드 플랫폼 상에서 서비스할 수 있도록 실습을 병행한다. - 객체지향프로그래밍및실습(Object-oriented Programming)
Java/C++ 프로그래밍 언어를 기반으로 추상화, 상속, 인터페이스 등의 객체 지향적 개념을 이해하고 실습을 통해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작성한다. - 소프트웨어공학(Software Engineering)
좋은 소프트웨어를 효과적으로 신속하게 분설, 설계, 개발, 문서화, 운영 및 유지보수에 있어, 전통 방식과 객체지향 방식의 각종 이론과 기법을 배우고 실습을 통하여 각 단계별 적용 능력을 습득하여 점증적 소프트웨어 개발 능력을 부여한다. -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운영체제의 기본 동작 구조를 이해하고 Process, Memory, I/O device 등의 자원을 범용적으로 제공 및 관리하기 위한 운영체제의 핵심 기법(CPU/Memory Virtualization, Lock, 등.)을 Linux 코드와 함께 학습한다. - 네트워크프로그래밍및실습(Network Programming)
네트워크의 기본 개념을 소개하고 클라우드 플랫폼을 구축 및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 네트워크 통신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지식을 학습한다. - 엣지 클라우드(Edge Cloud)
Raspberry Pi을 기반으로 데이터통신 및 컴퓨터네트워크 분야의 기본 이론과 기술을 습득하고 다양한 스마트 센서를 클라우드 시스템과 연동함으로써 엣지(IoT) 기술을 학습한다. - 알고리즘(Algorithm)
컴퓨터를 사용하여 주어진 문제를 풀고 해답을 얻기 위한 알고리즘의 설계기법 및 분석과정을 배우며, 알고리즘의 시간적 공간적 측면의 복잡도를 분석하여 효율적인 알고리즘을 설계하는 기법을 익힌다. 또한 설계된 알고리즘을 C++이나 Java로 구현해 본다. - 데이터베이스(Database)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및 Key-value store (Redis)을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의 기본 구조 및 동작 과정을 이해하고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및 인터페이스 설계를 함께 실습한다. - 클라우드보안(Cloud Security)
DDOS 공격 및 해킹을 차단할 수 있는 원리와 방법을 학습하고 클라우드 시스템에서의 보안 이슈(퍼블릭, 프라이빗, 하이브리드 클라우드)에 대해 학습한다. - 클라우드현장실습(Cloud Internship)
본 교과목에서는 카카오엔터프라이즈의 현장실습 과정으로 대체하여 운영된다. 현장실습 기간 중 클라우드 실무 중심의 협업 능력을 습득 및 향상시키기 위해, 개발/비개발 부서간 순환 근무를 포함하고 있으며, 현장실습 평가를 진행한다. - P-실무프로젝트(P-Practical Project)
P-실무프로젝트는 P-학기제(12+4)의 4주 몰입형 프로젝트 교과목으로 팀 프로젝트로 운영된다.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문제점 및 개선점을 논의하고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아이디어를 도출한다. 또한, 아이디어를 프로토타임 레벨로 구현 및 평가한다. - 클라우드프로그래밍(Cloud Programming)
딥러닝(CNN, RNN, 등) 및 온 디바이스 AI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제공되는 다양한 인공지능(AI) 서비스(OCR, NLP, Chat GPT, 등)에 대한 응용 및 개발을 수행한다. - 분산클라우드컴퓨팅 (Distributed Cloud Computing)
클라우드 데이터의 효육적인 분산 처리를 위해, 분산 컴퓨팅의 기본 개념(Ceph, Hadoop, 등.)을 이해하고 원격지의 하드웨어 리소스를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하는 RDMA, SmartNiC 등의 기술에 대해서 학습한다. - 빅데이터분석개론 (Introduction to Big Data and its Analysis)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데이터의 병합/수집/처리를 위한 데이터 파이프라이닝의 개념을 이해하고 관련 기술을 학습한다. 또한, Apache Kafka을 통해 학습한 내용을 실습한다. - 종합프로젝트(Integrated Project)
팀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P-실무프로젝트의 프로토타입을 평가 및 보완하고 실제 적용 가능한 클라우드 시스템 레벨로 개발을 완료한다. 마지막으로, 개발 완료한 코드를 Github 오픈소스로 공개하고 관련 내용을 학술대회 및 논문지에 게재한다. - 학생자율연구(You Make Course)
학생 본인의 개인의 연구 주제를 스스로 선정하고 클라우드 분야에서의 진로 선택을 위한 최신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을 학습한다. 또한, 연구한 내용의 성과물을 학술대회 및 논문지에 발표/게재한다. - 데이터센터네트워크(Network for Data Center)
멀티-테넌트 클라우드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 및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센터에 최적화된 네트워크 및 스토리지 기술에 대해서 학습한다. - 클라우드하드웨어(Cloud Hardwhare)
클라우드 플랫폼을 구성하는 최신 하드웨어(GPU, NPU, TPU 등) 기술을 학습하고 내부 동작 과정을 이해한다. 또한, 클라우드의 storage array, PIM 등의 최신 스토리지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조를 이해하고 오브젝트 스토리지와 같은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스토리지 서비스의 동작 과정에 대해서 학습한다. - 클라우드특강(Selected Topics in Cloud)
교내/외의 최신 기술(클라우드, AI, 하드웨어, 등)의 전문가들을 초빙하여 관련 기술을 학습하는 세미나 과목이며, 다양한 연구 분야와 최근 동향을 소개하되, 클라우드 분야의 기술에 초점을 맞춘다. - 클라우드운영(Cloud Operation)
클라우드 서비스 관리 및 운영을 위해 필요한 비즈니스 모델에 대해 학습하고 모니터링을 위한 자동화(Prometheus) 및 시각화 (Grafana) 도구에 대해 학습한다. - 클라우드프로젝트(Cloud Project)
최신 클라우드 기술이 활용될 수 있는 융합 분야의 주제를 선정하고, 팀 프로젝트를 통해 수요자 중심의 서비스 및 애플리케이션을 설계 및 개발한다.
* 교육과정은 학과 요청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므로 졸업이수요건 및 기타 주요사항은 반드시 학과사무실을 통하여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