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비상안전학)
- 국가비상대비론 National Emergency Preparedness Theory
- 국가비상대비에 관한 국내ㆍ외 이론을 고찰하고 한반도의 지정학적, 포괄적 안보환경과 북한의 핵, 국지도발 위협을 진단, 우리나라 비상대비 관련 법 및 제도, 조직, 자원관리, 연습 및 훈련, 전문인력 실태를 분석, 문제점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하며, 국가비상대비체계 확립을 위해 실행 가능한 발전방안을 도출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 정보보안론 Introduction to Information security
- 인공지능 시대에 정보보안은 개인과 조직의 핵심 관심 과제로 부각되고 있는 만큼 정보보안의 개념과 기본 원리, 암호원리 및 암호 이용, 각종 접근제어 방법, 악성코드 보안, 무선네트워크 보안, 각종 보안 솔루션, 보안관제와 침해 대응, 정보보안 법률과 보안 거버넌스 등을 폭넓게 교육한다.
- 비상대비법령이해Ⅰ·Ⅱ Understanding Emergency Preparedness Act
- 국가비상사태 발생시 적용하기 위한 법령 중 비상대비에 관한 법률,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 예비군법, 민방위기본법에 대해 학습한다.
- 국가안보론 National security theory
- 급변하는 국제 안보 환경 속에서 국가안보를 이해하기 위하여 국가안보의 주요 개념, 안보의 주요 패러다임, 동맹관계, 국제협력, 전쟁과 전략, 핵 위협 등에 대하여 학문적 이론과 실제를 학습한다. 특히 북한의 핵을 포함한 위협 실체를 정확히 인식하여 국가안보의 발전 방향과 공감대 조성에 목적을 두고 학습한다.
- 소방안전관리론 Fire Safety Management
- 산업의 급격한 발전과 함께 건축물이 대형화, 고층화되고, 각종 석유화학 제품들의 범람으로 날로 대형화 고도화되고 있는 각종 화재사고에 대해 사전 예방, 진압, 구조, 구급활동 등에 대한 소방안전관리에 관하여 교육한다.
- 재해경감활동 Disaster mitigation activities
- 각종 대형 재난이 빈번해지면서 사회안전망 구축 등 포괄적 안보 상황이 요구되는 상황 하에서 재해경감활동에 대한 핵심 이론과 중대안전사고 사례를 학생들에게 이해시켜 교훈을 도출함으로써 재해경감활동 정책 수립, 업무 영향분석, 리스크 평가 등의 통합적인 위기 대응능력 배양과 학문적 토대를 구축하고, 명실상부한 국가재난 안전관리 분야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최고의 전문가로 육성한다.
- 재난관리론 Theory of Disaster management
- 최근 급증하는 대형 재난에 대한 근본 원인과 효과적 대응을 학습하는데 목적을 둔다. 재난관리의 의의와 이해, 재난관리단계, 세계 각국의 국가재난관리 체계 연구, 재난 종류에 따른 재난관리 단계의 활동 방법 등을 학습하여 우리나라의 재난관리시스템에 대한 발전 방향을 모색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헌법학개론 Introduction to the Constitution
- 헌법의 기초개념과 일반이론을 기술하고 대한민국 헌법의 해석론을 개괄적으로 다루며 헌법해석에 필요한 국내 헌법학의 각 영역에서의 주요 논점들과 관련 판례를 연구한다.
- 4차산업시대 비상안전정책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Security
- 초연결과 초지능, 초융합화로 발전하는 4차산업 혁명 시대에 국가비상대비 및 기업안전은 4차산업 혁명 시대의 기술들을 비상대비정책에 어떻게 접목하고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 인가하는 문제를 주제로 이론적 기술적 연구를 병행한다.
- 비상계획컨설팅 Emergency Preparedness Consulting
- 국가비상대비 업무를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관련 지식을 습득하고 업무역량을 제고하기 위하여 위기관리 주요 이론, 국제정세, 동북아 및 한반도 안보 이슈, 포괄적 안보 위협 대비 등에 대하여 학습하고 국가비상사태 발생에 대비하여 각 기관 및 업체별 특성에 맞추어 비상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조직원들에게 교육 숙달시키기 위한 제반 업무 절차와 규정 등을 컨설턴트하는 과정을 교육하고 실습한다.
- 산업안전보건관리론 Occupational Safety Health Management
- 산업현장에서 발생하고 있는 각종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기 위하여 안전보건관리의 기본, 산업재해의 원인, 사업장 안전보건관리 시스템, 각종 산업안전보건관리 법규 및 규정 등을 이해하고 숙지하는 데 목적을 둔다. 특히, 최근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되고 있어 산업안전보건 관련 배경지식과 현장감을 배양한다.
- 기업안전컨설팅 Industrial disaster consulting
- 기업에서 발생하는 각종 재난의 원인을 진단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예방하는 과정을 실무에 기반을 두고 기업안전 분야에 대해 전반적으로 컨설팅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 국가방위사업론 National Defense Acquisition Program
- 국방의 유형 전력의 근간을 이루는 방위사업에 대한 전반적인 개념을 이해시키는 데 목적을 두고 방위산업의 정책, 국방과학기술 개발관리, 무기체계 소요 기획, 무기체계 연구개발, 무기체계 구매, 계약관리, 원가관리 등 방위사업 대한 전반적 프로세스를 이해하도록 교육한다.
- 산업보안론 Industrial Security Management Theory
- 산업현장의 기술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산업보안 활동의 일환으로, 현장에서의 보호 가치대상(인력·관리, 설비·구역, 정보·문서 등)을 내·외부 위해요소로부터 침해되지 않도록 예방·관리 및 대응에 대해 학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