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소개
INTRODUCTION TO THE MAJOR
본 전공은 미래 정보지식화 사회를 이끌어 갈 유능한 디자이너를 양성하기 위해 예술, 공학, 인문 분야와 폭넓은 교류 시스템을 유지하고 있으며, 실용적이면서 창조적인 제품과 환경을 만드는 데 필요한 정보, 지식, 조형능력을 고루 갖춘 디자이너를 양성하고 있다. 본 학과는 학생들이 새로운 생활문화의 창출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제품디자인 분야 및 공간디자인분야 전공트랙 중심으로 산업디자인 전 분야에 적응할 수 있는 특성화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교육목표
OBJECTIVES OF THE MAJOR
19세기 후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디자인은 산업활동의 가치와 경쟁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고부가가치의 창출수단으로 인식되어왔으며, 현대에는 다변화하고 있는 개인의 요구에 부응하여 생활을 풍요롭게 하는 창조적 생활제안 행위로써 중요성이 인정되고 있다. 문화가 강조되고 있는 21세기에는 인류의 생활을 재해석하여 이를 문화기술로 창조하는 디자인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질 것이며 이에 디자인 전공은 인간환경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디자인의 사회적 이념 아래서 변화하는 시대가치의 요구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디자인 전문가를 양성하는데 필요한 지식정보를 제공하는데 그 1차적 목표가 있다.
즉, 본 전공은 우리의 생활전반에 폭넓게 관여하는 디자인분야에서의 창의적 기획(Planning), 조형(Gestaltung), 개발(Development) 활동을 할 수 있는 매개자(Merchandiser)로서의 디자이너의 양성을 위한 교육특성을 갖고 있다. 이에 본 전공에서는 생활문화에 적합한 디자인가치를 중심으로 하여 다양화된 소비자의 요구를 인지/기획하고 실현하고자하는 예술, 과학, 기술을 연계하는 디자인 교육을 실시하고 통합적인 신(新)디자인 교육과정과(Integral Design) 학문연구를 통하여 폭넓은 디자인 분야에서 활동할 후 있는 전문인을 배출하는데 또 다른 목표가 있다.
즉, 본 전공은 우리의 생활전반에 폭넓게 관여하는 디자인분야에서의 창의적 기획(Planning), 조형(Gestaltung), 개발(Development) 활동을 할 수 있는 매개자(Merchandiser)로서의 디자이너의 양성을 위한 교육특성을 갖고 있다. 이에 본 전공에서는 생활문화에 적합한 디자인가치를 중심으로 하여 다양화된 소비자의 요구를 인지/기획하고 실현하고자하는 예술, 과학, 기술을 연계하는 디자인 교육을 실시하고 통합적인 신(新)디자인 교육과정과(Integral Design) 학문연구를 통하여 폭넓은 디자인 분야에서 활동할 후 있는 전문인을 배출하는데 또 다른 목표가 있다.
031-750-55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