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번호
106366

가천대학교 신소재공학과 범병지 학생, SCIE급(Q1 등급) 국제학술지(Polymers) 논문 게재

수정일
2025.02.13
작성자
홍보실
조회수
1014
등록일
2025.02.13

학부생이 Q1 등급 국제학술지에 주저자로 논문 게재해 주목


범병지_정승찬_장원준

신소재공학과 범병지 학생, 정승찬 박사과정생, 장원준 박사과정생(사진 좌측부터)


가천대학교 신소재공학과 4학년 범병지 학생이 제1저자로 참여한 연구 논문이 SCIE급(Q1 등급) 국제학술지 Polymers에 지난달 1일 게재됐다. 학부생이 Q1 등급의 국제 학술지에 주저자로 논문을 게재한 사례는 이례적인 것으로, 국내외 학계와 산업계에서 주목받고 있다. 


이 연구에는 신소재공학과 정승찬, 장원준 박사과정생(공동 제1저자), 원종건, 정지훈, 최유정 석사과정생, 문만기 학부연구생이 공동 연구자로 참여했으며, 신소재공학과 한재희 교수가 지도했다.


Polymers 저널은 2023년 Journal Citation Reports(JCR) 기준 고분자 과학(Polymer Science) 분야에서 상위 약 20%(Q1 등급)에 해당하는 국제 학술지로, 높은 영향력을 갖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WNT)의 금속성과 반도체성을 정밀하게 분리하고 실시간으로 분석할 수 있는 미세채널 플랫폼 기술을 제안했다. 연구진은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기반 마이크로플루이딕 겔 크로마토그래피(Microfluidic Gel Chromatography)와 실시간 라만 분광법(In situ Raman Spectroscopy)을 결합한 분석 시스템을 구축했으며, 이를 통해 SWNT의 분리 및 용출 과정을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동역학적 데이터를 확보했다.


이 연구는 마이크로스케일 정밀도와 산업적 확장 가능성을 높였으며, 나노소재의 전자적 특성에 따른 분리 공정에서 실시간 동역학적 분석의 가능성을 입증했다. 특히, PDMS 기반 마이크로플루이딕 시스템을 활용한 이번 기술은 나노소재 분리 분야에서 혁신적인 접근법을 제시하며, 관련 특허가 출원된 상태다.


범병지, 문만기 학생은 올 1학기부터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신소재공학과 한재희 교수 연구실에서 석사과정을 밟으며 연구를 이어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