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24 국제학술대회
<동아시아의 대중음악, 과거에서 미래로 - 인류 문화유산으로서의 트로트와 엔카>
<9.27 금>
09:30 ~ 09:40 |
개회사 박진수 (가천대 아시아문화연구소 소장) |
||
|
환영사 김충식 (가천대 특임부총장) |
||
|
축사 이기웅 (한국대중음악학회 회장) |
||
기조강연 |
사회: 이가현(가천대) |
||
09:40 ~ 10:10 |
창가(唱歌)란 무엇인가: 창가를 통해 본 한국의 근대 |
||
|
민경찬 (한국예술종합학교) |
||
10:10 ~ 10:40 |
동아시아 대중음악의 성립과 지역별 전개 |
||
|
고바야시 다카유키 (오카야마대) |
||
10:40 ~ 11:00 |
휴식 |
||
[1부] 트로트와 공동체의 기억 |
사회: 조리라(가천대) |
||
11:00 ~ 11:20 |
트로트와 민중: 1980년대 민중문화운동계의 트로트에 대한 인식과 수용을 중심으로 |
||
|
박애경 (연세대) |
||
11:20 ~ 11:40 |
IMF 외환위기의 트로트 악극, 문화적 기억을 재생하다 |
||
|
손민정 (한국교원대) |
||
11:40 ~ 12:00 |
해방 후 한국에서의 ‘왜색가요’ 규제와 트로트의 탄생 |
||
|
야마우치 후미타카 (국립대만대) |
||
12:00 ~ 12:30 |
토론: 권도희(경북대), 최혜은(상하이뉴욕대) |
||
12:30 ~ 1:40 |
휴식 |
||
[2부] 대중음악과 ‘전통’의 창조 |
사회: 최재준(가천대) |
||
1:40 ~2:00 |
전후 일본 음악적 전통의 발명, 가요곡에서 엔카까지(1946-1960) |
||
|
데보라 샤문 (국립싱가포르대) |
||
2:00 ~ 2:20 |
‘엔카’와 ‘민요'의 관계를 재고하다: 사상·제도·실천 |
||
|
와지마 유스케 (오사카대) |
||
2:20 ~ 2:40 |
오아시스 레코드 발매 트로트의 양상과 국면 |
||
|
장유정 (단국대) |
||
2:40 ~ 3:00 |
엔카, 가자희(歌仔戲), 유행가: ‘일조다사(一調多詞)’라는 대만 전통 창법 |
||
|
천페이퐁 (대만중앙연구원) |
||
3:00 ~ 3:40 |
토론: 최유준(전남대), 유옥란(배재대) |
||
3:40 ~ 4:00 |
점심 |
||
[3부] 횡단하는 대중음악 |
사회: 한명섭(가천대) |
||
4:00 ~ 4:20 |
재일한국인 대중음악 20년(1945-1965) |
||
|
이준희 (전주대) |
||
4:20 ~ 4:40 |
뉴 뮤직과 엔카의 거리: 음악성과 사상성 분석을 중심으로 |
||
|
오와다 도시유키 (게이오대) |
||
4:40 ~ 5:00 |
내셔널리즘과 감정의 구조: 중국에서의 대만 대중음악 |
||
|
황춘밍 (대만국립정치대) |
||
5:00 ~ 5:20 |
한국엔카/왜색가요 시대의 종언: ‘테크노 뽕짝’ 현상을 중심으로 |
||
|
김성민 (홋카이도대) |
||
5:20 ~ 6:00 |
토론: 신현준(성공회대), 김광우(한국학중앙연구원) |
<9.28 토>
10:00 ~ 11:30 종합토론 < 동아시아 대중음악의 미래 >
11:30 ~ 11:40 폐 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