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번호
102112

가천대학교와 지역사회가 함께하는 '에이징 인 플레이스' 2단계

수정일
2024.10.11
작성자
ESG센터
조회수
319
등록일
2024.10.11

external_image


공간의 위로

: 동네에서 집까지, 노년을 위한 공간 알아차림


1. 프로그램 개요

⚫ 제목 : <공간의 위로: 동네에서 집까지, 노년을 위한 공간 알아차림>

⚫ 기간 : 5/24-6/21, 10/18-11/8, 11/25-12/20

⚫ 장소 : 성남시 중원구 은행1동복지회관

⚫ 대상 : 은행1동 노인 대상

⚫ 지원 : 가천대학교 ESG센터, 은행1동복지회관


2. 프로그램의 필요성

- 정서적 안정과 독립성 유지 : 집과 동네는 정서적 안정감을 제공하고, 노년기에 독립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장소이다.

- 사회적 연결 유지 : 주변 환경과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은 사회적 소속감을 증진시키고, 고립감을 감소시킨다.

- 개인 맞춤형 생활 공간 조성 : 노인의 다양한 필요와 욕구에 부합하는 생활 공간의 조성은 삶의 질을 높이는 핵심 요소이다.

- 안전한 생활 환경 확보 : 신체적, 인지적 변화에 따른 노인의 필요를 반영한 안전한 생활 환경의 확보가 필수적이다.


3. 프로그램의 목적

- 공간과의 깊은 연결 인식하기 : 참여자들이 자신의 집과 동네와의 연결을 인식하고, 이를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탐색한다.

- 심리적 웰빙 증진 : 심리상담과 공간의 개인적 의미에 대한 탐구를 통해 참여자들의 정서적 웰빙을 증진시킨다.

- 커뮤니티와의 연결 강화: 동네 환경에 대한 탐색과 공유를 통해 지역 커뮤니티와의 소속감과 연결을 강화시킨다.

-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공간 조성 : 참여자들이 자신의 필요와 욕구에 맞는 공간을 만들어 가는 과정을 통해, 더 안전하고 편안하며 만족스러운 생활 환경을 조성한다.


4. 2단계 세부일정


2단계 일정

프로그램 구성

학생 참여 내용

개요

활동 구성

1주차

10.18.

⚫ 집, 돌아보기

: 집에 대한 기억을 통해 감정 알아차리기

[강의] 강의 소개

[실내, 사회복지] 조 활동하기

[심리] 대상자들의 집에 관한 이야기를 들으며 관찰하기

[활동] 조 편성 및 조원들 라포 형성 활동 (조 이름 정하기, 게임 등)

[나눔] 대상자들의 집에 대한 기억이나 감정 이야기 나누기

2주차

10.25.

⚫ 집, 살펴보기

: 대상자들의 집을 직접 조별로 방문해서 주거환경의 실태를 파악하기

[활동] 각 조별 대상자들 집 방문 및 조사

[실내] 현장조사 및 실측하기

[심리] 집의 물리적 상황을 보고 심리적 특징 관찰하기

[사회복지] 주거환경 실태 조사하기

3주차

11.1.

⚫ 집, 욕구 알아보기

: 대상자들이 집에서 원하는 욕구가 무엇인지 탐색하기

[강의] 6가지 주거 욕구

[실내] 대상자의 파악된 욕구를 중심으로 기본설계 진행하기 (스케치업, 모형 작업하기)

[심리] 주거 욕구를 통해 심리적 특징 분석하기

[사회복지] 독거노인과 주거환경을 중심으로 복지적 측면 살펴보기

[활동] 6가지 주거 욕구와 관련된 게임 진행

4주차

11.8

⚫ 집, 표현하기

: 대상자들에게 집의 변화할 방향에 대해서 제안하기

[발표] 주거계획안 발표하기

[실내] P학기에 진행할 실내설계 기획 확정하기

[심리, 사회복지] P학기에 진행할 연구과제 확정하기

[활동] 주거모형을 가지고 가구 배치 등을 함께 시뮬레이션 해보기



5. 지원관련

현재 가천대학교에 재학중인 학생(사회복지학과,심리학과,실내건축학과) 

본 프로그램 참여 학생은 봉사시간  부여

- 마일리지 5점 부여

- 프로그램 진행 시간 매주 금요일 오전 10:00~12:00 (총2시간)


6. 신청방법

-  wind 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