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요 및 교육목표
- 이차전지는 다양한 신산업 분야에서 필수적인 중요 부품으로써 세계적인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차전지는 현재를 넘어 미래가 더욱 기대되는 고부가가치 학문분야입니다. “세계 이차전지 산업을 선도하는 자율과 창의 중심의 융합형 첨단 인재 양성”이 이차전지 혁신융합전공의 비전이며, 융합형 첨단 인재 양성을 위해 대학간・학제간 제약 없는 자율적인 교육 체계 구성과 급성장하는 이차전지 산업에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창의를 핵심 지향점으로 설정하였습니다. 이러한 융합형 이차전지 혁신융합전공 이수를 통해 이차전지 소재/분석, 제조/공정, 진단/안전, 장비/시스템 및 자원순환의 다양한 영역에 걸쳐 이론교육을 통해 주요한 지식을 함양하고, 실질적인 설계·실습을 통해 현장 중심형 핵심 인력을 양성하고자 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이차전지 분야 대기업 및 중견·중소기업, 연구소 분야 등에 필요한 고급인재 배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교육과정표
융합전공학기 | 분류 | 혁신융합전공 개설과목 |
---|---|---|
전학년 1학기 |
초급 | 이차전지부품장비개론 이차전지핵심광물과공급망 |
중급 | 이차전지소재분석공학 차세대셀설계공학 이차전지시스템열관리공학 빅데이터와이차전지진단 |
|
고급 | 이차전지분석PBL 이차전지시스템안전PBL 이차전지재활용PBL |
|
전학년 하계 |
첨단분야융합세미나 | |
전학년 2학기 |
초급 | 이차전지방화공학 이차전지안전의이해 이차전지전산해석개론 |
중급 | 셀특성평가공학 전극신공법공학 이차전지분석시스템공학 폐배터리재활용공학 |
|
고급 | 이차전지제조PBL 이차전지소재평가PBL 이차전지캡스톤설계 이차전지산업이슈연구 |
연계 학과학기 |
화공생명배터리 공학부개설과목 |
기계공학전공 개설과목 |
전자공학전공 개설과목 |
---|---|---|---|
2-1 | 화공양론1 물리화학 전기화학공학 |
열역학 공학수학1 |
회로이론1 기초회로실험1 |
2-2 | 화공양론2 분석화학실험 고분자공학 |
유체역학 응용고체역학 (응용재료역학) |
회로이론2 기초회로실험2 물리전자공학 |
3-1 | (화공)열역학 유기합성실험 |
열전달 진동학 기계설계 |
전자회로 전자공학실험1 제어공학 |
3-2 | 물질전달 | 자동제어 | 응용전자회로 전자공학실험2 제어시스템설계 |
4-1 | 재료공학 | 전산구조동역학 (CAE) 종합설계1 |
|
4-2 | 창의적종합설계 (이차전지종합설계) |
에너지공학 종합설계2 |
신청 대상 | 화공생명배터리공학부, 기계공학전공, 전자공학전공 소속 학생 (1학년 2학기 ~ 4학년 1학기 재학생) |
||
---|---|---|---|
이수 학점 | 전공 | ⦁ 이차전지혁신융합전공 인정교과목 42학점 이수 - 본인학과전공 18학점 + 혁신융합전공 18학점(초·중급 각 최소 2과목이상, 고급 최소 1과목이상 이수 필수) + 연계학과 6학점(본인 학과 외 연계학과 수업 및 혁신융합전공포함) |
|
부전공 | ⦁ 이차전지혁신융합전공 인정교과목 21학점 이수 - 초·중·고급 각 1과목 이상 이수 필수 + 연계학과 선택교과 또는 중·고급 필수 교과목 |
||
자격취득 절차 | 신청서 제출 → 학점이수 → 자격신청서 제출 → 이차전지 공학사 학위 취득 | ||
문의 사항 | 오선아 연구원 | 사무실: 가천관 1층 102호 | 문의처: 031-724-4510 |